‘권성동 경질’ 내홍, 결국 유야무야?

입력 2016-06-21 18:12 수정 2016-06-21 21:32
새누리당 강성 친박(친박근혜)계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권성동 사무총장은 21일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당무를 봤다. 친박계는 경질을 기정사실화하고 있지만 권 총장과 비박(비박근혜)계는 터무니없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있다. 친박계가 사퇴를 밀어붙이더라도 당사자가 버티는 한 억지로 끌어내릴 방법이 없고 난감해지는 건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어서 결국 유야무야 봉합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비박계는 이번만큼은 친박계의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단단히 별렀다. 김무성 전 대표의 비서실장이었던 김학용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비대위 회의에서 표결로 결정한 사안을 놓고 애꿎은 사무총장에게 책임을 돌려 물러나라고 하는 게 도대체 말이 되느냐”며 “이런 주장을 하는 친박계 의원들은 정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김용태 의원도 “친박계가 계속 무리한 요구를 한다면 권 총장을 몰아내려는 이유가 결국은 총선 참패 원인을 분석한 백서 발간과 전당대회 관리 때문이라는 오해가 번져 당이 난장판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 전 대표도 가까운 의원들에게 “친박계도 적당히 해야지 이렇게 가선 안 된다”는 우려를 전달했다고 한다.

친박계는 권 총장이 물러나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 다만 당 안팎의 여론이 악화되자 경질의 근거를 권 총장이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다는 데서 찾는 분위기다. 20대 국회 전반기 법사위원장은 야당 소속 국회의장과 맞먹는 자리인 만큼 현실적으로 당직과 겸직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논리다. 하지만 비대위 사무총장이 오는 8월 9일 전당대회에서 새 지도부가 선출되기 전까지만 유지되는 한시적인 자리인 데다 김 위원장도 사전에 겸직을 용인했기 때문에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해임은 비대위 의결 사항이라는 권 총장의 주장도 반박했다. 이장우 의원은 “김 전 대표가 이군현 사무총장을 황진하 사무총장으로 바꿨을 때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총장 해임에 관해 별도로 의결 절차를 밟지 않았다”고 했다.

시간이 흐를수록 김 위원장 입장도 난처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 비대위원은 “김 위원장이 새 사무총장을 임명하려면 비대위에서 표결해야 하는데 그게 쉽게 되겠느냐”고 했다. 이어 “가결되든 부결되든 후유증이 크기 때문에 현재로선 출구가 없다. 덮고 가는 게 최선”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초선 의원들과 오찬을 함께하는 등 분위기 다잡기에 나섰다. 하지만 당내 반응은 싸늘하다. 정병국 의원은 “분란을 수습하러 온 분이 분란을 야기하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가면 패권주의를 지향하는 사람들의 논리를 대변하고 조종당하고 있다는 것을 자임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태경 의원도 “김 위원장이 당 혁신에 장애물이 되고 있다. 혁신의 수장으로서 상당히 흠집이 났다”고 혹평했다.

[정치뉴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