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주류의 핵심 김부겸 의원이 주류 좌장 격인 무소속 이해찬 의원과 머리를 맞댄다. 김 의원이 동북아 경제협력을 주제로 조직한 초당적 의원 연구단체에 이 의원이 참여키로 한 것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중도·합리파 인사들이 참여한 데다 연구 주제도 ‘햇볕정책’을 대체할 새로운 동북아 공존 모델을 논의하자는 취지여서 대권 준비를 위한 정책 구상을 시작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김 의원은 조만간 ‘동북아 공존과 경제협력’이라는 명칭의 의원 연구단체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북·중·러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을 한국이 선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외교·통일 어젠다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모임이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21일 “대북 관계를 동북아까지 포괄해 사고하는 경제·외교적 틀을 정립하자는 문제의식이 있었다”며 “경제협력을 통해 북한을 국제사회로 편입시키는 그런 역할도 중·일·러 등 주변국 국회의원들과 함께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현재까지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은 이 의원과 더민주에선 중도 모임 ‘통합행동’의 박영선 김영춘 의원, 그리고 김태년 전재수 조승래 의원이다. 새누리당에서는 대구 출신 윤재옥 의원이 합류키로 했고 국민의당에서는 오세정 의원이 참여한다. 여기에 더민주 정성호 의원과 국민의당 김성식 정책위의장도 조만간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참여 의원 면면을 보면 중립적, 합리적 인사인 데다 일을 제대로 한다는 평가를 받았던 인사들”이라며 “당내에서 영향력이 큰 의원들이 참여하는 터라 자연스럽게 논의 결과가 더민주의 주요 외교정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를 두고 김 의원이 대선 정책 구상을 위해 외교·통일·경제 분야를 아우르는 ‘거시적’ 연구단체를 결성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야권에서는 그동안 햇볕정책을 대체할 새로운 대북 정책과 비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야권 핵심 인사인 이 의원의 참여를 두고서도 여러 해석이 나온다. 각각 당내 비주류와 주류를 대표하는 의원이 한자리에 모인 셈이기 때문이다. 다만 한 주류 측 인사는 “이 의원이 원래 이 분야에 큰 관심이 있었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연구단체 역시 김태년 의원이 이 의원과 함께 비슷한 주제를 준비하다 김부겸 의원이 이를 제안하자 같이 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당권과 대권을 놓고 고민 중인 김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선 각자의 판단과 결단이 필요하다”며 “이달 중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정치뉴스]
☞
☞
☞
☞
[단독] 김부겸·이해찬, 외교·통일문제 머리 맞댄다
입력 2016-06-21 18:09 수정 2016-06-21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