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비주류 진영의 당대표 후보 단일화 방향을 가를 김부겸 의원의 선택에 야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권과 대권을 놓고 저울질 중인 김 의원의 결단에 따라 전당대회와 대선 레이스의 양상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비주류 성향 모임인 ‘구(舊) 민집모(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 소속 일부 의원은 김 의원의 대선 출마를 바라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당권이 더 현실적이라는 주장도 나오는 등 당내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더민주 이종걸 의원은 20일 비상대책위원위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난 (16일) 민집모 회동에선 김 의원이 젊은 한 축으로 대선 레이스를 받쳐줘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며 “(그래야) 전체적인 당내 세력 간 균형이 잡힌다는 것인데 (당권 도전을 통해) 내부에서 힘이 좀 있어야 좋다는 생각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의 행보를 놓고 당내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는 얘기다. 한 민집모 소속 의원은 “대권도 좋지만 당권 도전이 더 현실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했다.
당초 김 의원은 이날 이 의원, 박영선 의원과 함께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관해 논의키로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신중하게 판단하는 게 좋다. 일단 오늘은 만나지 않는다”고 했다. 김 의원이 당권 도전에 나설 경우 이 의원, 박 의원은 김 의원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이 의원은 “김 의원이 (단일화의 키를 쥐기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말해 김 의원의 결단이 ‘3자 단일화’의 핵심이라는 점을 숨기지 않았다.
김 의원의 머릿속은 복잡할 것으로 보인다. 월말까지는 이 문제에 관한 입장을 밝히기로 한 데다 이 의원과 박 의원 양측도 이번 주까지는 ‘교통정리’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애초 대권에 조금 더 무게를 두고 있었으나 최근 주변에서 당권 도전을 권유하는 목소리도 높아 고심이 깊어졌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전당대회에 출마할 경우 ‘주류 대 비주류’ 계파 싸움에 휘말려 ‘중도 이미지’에 흠이 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더민주 관계자는 “당 내부에서도 김 의원의 행보에 대해 의견이 반반으로 갈리고 있다”며 “각 선택에 따른 이해득실이 대립해 김 의원의 고민이 당초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이미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추미애 송영길 의원은 비주류 단일화 움직임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추 의원 측은 “당권 주자가 많은 편이 흥행할 것”이라고 했다. 송 의원은 “자기 힘으로 당권에 도전해야 한다. 단일화한다는 것 자체가 지금 (상황과) 맞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한편 추 의원은 전남 여수에서 열린 광주시당 핵심 당직자 연수대회에 참석해 “당대표가 되면 호남특위원장을 맡아 호남 예산과 인사를 직접 챙기겠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정치뉴스]
☞
☞
☞
☞
당권이냐 대권이냐… 김부겸 결단이 비주류 단일화 열쇠
입력 2016-06-2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