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과 삼성의 20조원 투자 협약이 무산된 것과 관련해 “정치쇼를 한 것 아니냐, 진실을 규명하라”는 전북도민들의 비난 목소리가 빗발치고 있다. 삼성이 뒤늦게 “협약을 철회한 것은 아니고 사업구조를 개편하는 중”이라고 해명했으나, 삼성과 새만금개발청이 또 다시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20일 “최근 삼성 측으로부터 새만금 투자 양해각서(MOU)에 대한 공식입장을 확인했다”며 “삼성은 2011년에 체결했던 MOU를 철회한 것은 아니나 현재 주력산업 중심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새만금청에 따르면 삼성은 “당시 투자를 결정했던 풍력발전과 태양전지 사업은 사업성 부족으로 철수한 상태”라며 “앞으로 새로운 투자계획이 있을 경우 새만금에 투자하는 것을 우선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병국 새만금청장은 “향후 삼성의 새만금 투자가 현실화되도록 계속 협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발표에도 삼성과 새만금청의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삼성 측은 구체적인 투자실행계획 문의를 위한 고위관계자 면담요청에도 이를 거부해 오다, 전화로만 이처럼 답변한 것으로 드러났다. 새만금청은 삼성이 실무를 맡았던 ‘신수종사업단’을 2013년 폐지했음에도 적극 대응을 하지 못하다, 뒤늦게야 전화 답변 하나만 갖고 호들갑만 떨고 있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당초 삼성은 2011년 임채민 국무총리실장, 김순택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장, 김완주 전북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가졌다. 새만금 내 11.5㎢(350만평)에 2021년부터 20년간 20조원을 투입해 풍력과 태양전지·연료전지 등을 포함하는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를 구축한다는 게 뼈대였다.
삼성은 전북도의 거듭된 실행계획 문의에 지난달 “현재로선 새만금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고 밝혀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전북도의회와 지역 국회의원, 자자체 등은 협약백지화에 따른 대책 마련과 진실규명을 위한 국정감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5년 전 투자협약이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경남 이전설에 따른 전북도민들을 달래기 위한 정부와 삼성, 전북도의 ‘대도민 사기극’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새만금 투자 무산… 진실 규명 하라”
입력 2016-06-20 17:37 수정 2016-06-20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