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재 한국선주협회장이 “해운 및 조선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추진되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초래되는 부작용이 적지 않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회장은 지난 17일 열린 2016년도 사장단 연찬회 인사말에서 “해운업이 리스크 업종이자 구조조정 업종으로 치부되면서 금융권에서 신규 거래 개설 불가와 대출금 조기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또 “국내 대형 화주들 또한 구조조정 중인 국적 원양선사를 외면하고 외국 선사에 화물을 몰아주는 국적 선사 이탈 현상도 심각한 상황”이라며 “구조조정이 원만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협회 차원에서 금융권과 대기업 화주들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축사에서 “해운 불황 속에서도 해운 강국으로의 성장을 위해 힘쓰고 있는 외항선사 사장단에게 감사와 격려를 전한다”며 “해운업 구조조정이 최선의 결과로 이어지고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 간 협조를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연찬회에서 해운·조선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방향, 한국해양보증보험 출자 대책, 해운 물류시장 질서 확립 방안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경제뉴스]
☞
☞
☞
☞
이윤재 선주협회장 “해운업 구조조정 부작용 커”
입력 2016-06-19 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