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 게이트’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의 비리 사건이 전관 변호사와 현직 판·검사의 유착 여부,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비화되는 가운데 부장급 현직 검사가 정 대표에게 1억원을 받은 정황이 포착됐다. 검찰은 정 대표의 브로커로부터 1억원을 이 검사에게 전달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해당 검사를 소환키로 했다. 정운호 게이트 이후 현직 검사의 비리가 파악된 것은 처음이다. 검찰은 정 대표가 2010년 네이처리퍼블릭이 인수한 회사의 서울 지하철 상가 운영업체 선정 과정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무마하려는 의도로 감사원 관계자와 동문인 이 검사에게 돈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2012년 11월 구속된 김광준 검사 이후 3년7개월 만에 뇌물검사 사건이 재발한 것이다.
한마디로 충격이다. 정의의 마지막 보루임을 자임하는 검찰의 뇌물 추문이 사실이라면 용서받을 수 없는 중범죄다. 김광준 사건이 잊혀질 만하자 또 이런 일이 생긴 데 대해 검찰도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그나마 검찰이 혐의를 신속히 확인해 후속 조치를 취하는 등 기민하게 대처해 다행이다. 앞으로도 만에 하나 제 식구를 감싸겠다는 조직보호 논리로 접근하다가는 여론의 뭇매를 맞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철저하게 수사해 엄단하는 한편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방안을 내놔야 한다.
부장급 현직 검사의 뇌물의혹 사건으로 정운호 게이트 일단이 드러나고 있다. 정 대표가 사업 성공을 위해서는 현직 법조인에게도 금품 살포를 서슴지 않았다는 게 사실상 확인된 것이다. 그러나 이 사안은 정운호 게이트의 본질은 아니다. 핵심에서 불거진 곁가지일 뿐이다. 검찰의 칼끝이 겨눠야 할 곳은 전관예우를 받은 부장판사 및 검사장 출신 변호사와 현관과의 고질적인 유착 여부, 정·관계를 상대로 한 광범위한 로비 의혹이다. 정운호 사건을 보면 납득할 수 없는 일이 하나 둘이 아니다. 전관과 현관 법조인의 결탁 없이는 도저히 이해되지 않는 정황이 적지 않다.
검찰은 뇌물검사 사건을 정운호 게이트의 몸통을 파헤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의혹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면 특별검사가 나설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비상한 각오로 수사에 임해야 겠다.
[사설] 정운호 ‘뇌물검사’의혹, 현직 몸통 수사 계기삼아야
입력 2016-06-19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