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사회적 대타협’ 들고 데뷔… 20일 교섭단체 연설

입력 2016-06-19 18:59 수정 2016-06-19 22:31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오른쪽)가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을 만나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진정성을 전제로 정 원내대표의 사과는 수용하면서도 당의 기강을 문제 삼으며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김 위원장은 손에 헌법 소책자를 들고 있다. 이병주 기자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데뷔 무대’에서 정규직·비정규직 차별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타협’ 방안을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알려졌다. 4·13총선 민심을 받들겠다는 의미에서 협치 필요성도 거듭 강조할 예정이다.

당 관계자는 1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소득 상위층이 대폭 양보함으로써 비정규직 노동자 등을 위한 임금의 중향(中向) 평준화를 이뤄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사건을 계기로 사회 양극화 현상의 해법을 찾는 데 힘을 모으자는 취지다.

다른 당직자는 “구의역 사건은 기업 양극화 현상을 비롯한 구조적인 문제까지 포함하고 있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 이슈와도 관련돼 있다”고 덧붙였다. 재벌 대기업의 불공정한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막고 2, 3세 경영의 불법·탈법에 대해선 철저하게 법적 책임을 묻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민생 이슈를 부각시키면서 박근혜정부의 경제 활성화 기조에 보폭을 맞추는 발언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3당 체제로 개편된 20대 국회에서 협치를 통해 노동개혁법 처리 문제 등을 해결하자는 것이다.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방안을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다만 정 원내대표는 최근 정치권에서 확산된 개헌 논의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는 ‘87년 체제’를 점검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으나 국민적 공론화 과정을 먼저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내 계파 갈등이나 당청 관계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히지 않을 예정이다.

[정치뉴스]





김경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