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국가(IS)가 주한 미공군기지와 우리 국민을 테러 대상으로 지목하고 시설 좌표와 신상정보를 공개했다고 국가정보원이 19일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IS는 자체 해커 조직을 통해 입수한 전 세계 미·NATO 공군기지 77개와 21개국의 민간인 신상정보를 해외 메신저 텔레그램으로 유포하며 ‘십자군과 싸워라. 무슬림을 위해 복수하라’고 테러를 선동했다. 우리나라는 오산과 군산 미공군기지의 구글 위성지도, 상세 좌표, 홈페이지와 국내 복지단체 직원 1명의 성명과 주소가 공개됐다. 앞서 IS는 지난해 9월 한국을 테러 대상으로 지목했으며 올 초 우리 국민 20명의 명단이 포함된 동영상을 공개한 바 있다.
IS의 한국 내 테러 대상이 갈수록 구체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도 더 이상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단체의 표적에서 벗어난 테러 안전지역이 아님을 보여줄 만한 위협이라 할 수 있다. 국정원은 5년간 국내에 입국한 테러단체 가입자 50여명이 출국조치됐으며 사회에 불만을 품은 내국인 2명이 IS 가입을 시도하다 적발되는 등 내외국인에 의한 테러 위협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당국의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만에 하나라도 주한미군 시설이나 우리 민간인이 테러 공격을 당할 경우 그 충격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특히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날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실제 테러가 발생하면 국내외에 미칠 악영향은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클 수밖에 없다.
단, 국정원 등의 대테러 활동은 은밀하게 이뤄져야 한다. 외부로 드러낼 일이 아니다. 더욱이 정치적으로도 미묘한 시기다. 총선에서 이긴 야당이 테러방지법을 개정하겠다고 벼르고 있는 반면 정부여당은 사이버테러방지법까지 통과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행여나 국정원이 IS의 테러 위협을 과장하며 여론을 유리하게 끌고 가겠다는 생각이라면 접는 게 좋다. 그런 의도에 넘어갈 국민은 없다.
[사설] IS 테러 철저한 대비 필요하지만 정치적 이용은 안돼
입력 2016-06-19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