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의원의 복당을 허용한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을 ‘쿠데타’에 비유했던 친박(친박근혜)계가 17일 정진석 원내대표와 권성동 사무총장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비대위 회의에서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일괄 복당을 밀어붙였다는 게 이유다. 정작 회의에 무소속 복당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표결에 참여해 직접 개표까지 한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감쌌다. 당내에선 엉뚱한 데 화풀이하고 있다는 말이 나왔다.
친박 의원들은 오전만 해도 정 원내대표와 권 사무총장의 동반 사퇴를 촉구하는 등 단단히 별렀다. 한 의원은 “정 원내대표는 비대위 인선으로 한 차례 논란을 빚었었다”며 “말로는 소통하겠다고 하면서 당내 불화를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원내대표가 결정을 미루자던 김 위원장에게 “표결을 안 하는 건 범죄행위”라고 말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이장우 의원은 “총선 당시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참패의 책임이 있는 사람이 사무총장을 맡은 것부터가 잘못된 일”이라며 “이번에도 특정 계파의 이익만 대변하고 있으니 사퇴하는 게 맞다”고 했다.
오후에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친박 대책회의엔 조원진 김진태 김태흠 이완영 이우현 이장우 의원 등 6명이 참석했다. 1시간 40분여분간 논의 끝에 나온 결론은 정 원내대표의 공식 사과와 권 사무총장의 사퇴였다. 반발 수위가 다소 누그러졌다. 이런 지적에 김진태 의원은 “최소한 이 정도는 돼야 한다고 먼저 의견을 모은 것”이라고 했다.
일괄 복당을 주장해왔던 김영우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대위원이 각자 민심과 양심에 따라 무기명 투표를 한 행위가 어떻게 쿠데타인가”라고 반문했다. 정 원내대표 사퇴 주장에 대해선 “제2의 유승민 사태를 또 만드는 불행한 일”이라며 “솔직히 사퇴 요구 이유도 모르겠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내가 분위기를 거칠게 몰고 가 그에 못 이겨 비대위원들이 표결했다는 건 그들을 모욕하는 얘기”라고 했다. 당무 거부에 들어간 김 위원장에겐 거듭 사과의 뜻을 전하면서도 “본질이 아닌 것 같고 그러는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 원내대표의 사과 방문을 거절했다.
새누리당에선 계파를 불문하고 “도대체 언제까지 유 의원 한 사람 때문에 당이 시끄러워야 되느냐”는 피로감이 큰 상태다. 여기에 당내 최다선인 서청원 의원이 “비대위의 복당 결정을 따라야 한다”고 밝혀 친박의 공세도 한풀 꺾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관련뉴스]
☞
☞
☞
☞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이슈분석] ‘뾰족수’ 없는 친박, 결국 수용?
입력 2016-06-18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