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뾰족수’ 없는 친박, 결국 수용?

입력 2016-06-18 04:02
김희옥 새누리당 혁신비대위원장이 유승민 의원 복당과 관련해 당무를 거부하고 칩거에 들어간 지 하루 만인 17일 부인과 강원도 산행을 마치고 돌아와 서울 강남구 자택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친박계인 김진태 김태흠 조원진 이장우 의원(왼쪽부터 시계방향)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나 유승민 의원 복당과 관련한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모습. 이동희 기자, 뉴시스

유승민 의원의 복당을 허용한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을 ‘쿠데타’에 비유했던 친박(친박근혜)계가 17일 정진석 원내대표와 권성동 사무총장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비대위 회의에서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일괄 복당을 밀어붙였다는 게 이유다. 정작 회의에 무소속 복당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표결에 참여해 직접 개표까지 한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감쌌다. 당내에선 엉뚱한 데 화풀이하고 있다는 말이 나왔다.

친박 의원들은 오전만 해도 정 원내대표와 권 사무총장의 동반 사퇴를 촉구하는 등 단단히 별렀다. 한 의원은 “정 원내대표는 비대위 인선으로 한 차례 논란을 빚었었다”며 “말로는 소통하겠다고 하면서 당내 불화를 조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원내대표가 결정을 미루자던 김 위원장에게 “표결을 안 하는 건 범죄행위”라고 말한 사실을 문제 삼았다. 이장우 의원은 “총선 당시 전략기획본부장으로 참패의 책임이 있는 사람이 사무총장을 맡은 것부터가 잘못된 일”이라며 “이번에도 특정 계파의 이익만 대변하고 있으니 사퇴하는 게 맞다”고 했다.

오후에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친박 대책회의엔 조원진 김진태 김태흠 이완영 이우현 이장우 의원 등 6명이 참석했다. 1시간 40분여분간 논의 끝에 나온 결론은 정 원내대표의 공식 사과와 권 사무총장의 사퇴였다. 반발 수위가 다소 누그러졌다. 이런 지적에 김진태 의원은 “최소한 이 정도는 돼야 한다고 먼저 의견을 모은 것”이라고 했다.

일괄 복당을 주장해왔던 김영우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비대위원이 각자 민심과 양심에 따라 무기명 투표를 한 행위가 어떻게 쿠데타인가”라고 반문했다. 정 원내대표 사퇴 주장에 대해선 “제2의 유승민 사태를 또 만드는 불행한 일”이라며 “솔직히 사퇴 요구 이유도 모르겠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내가 분위기를 거칠게 몰고 가 그에 못 이겨 비대위원들이 표결했다는 건 그들을 모욕하는 얘기”라고 했다. 당무 거부에 들어간 김 위원장에겐 거듭 사과의 뜻을 전하면서도 “본질이 아닌 것 같고 그러는 이유를 잘 모르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정 원내대표의 사과 방문을 거절했다.

새누리당에선 계파를 불문하고 “도대체 언제까지 유 의원 한 사람 때문에 당이 시끄러워야 되느냐”는 피로감이 큰 상태다. 여기에 당내 최다선인 서청원 의원이 “비대위의 복당 결정을 따라야 한다”고 밝혀 친박의 공세도 한풀 꺾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관련뉴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