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등 ‘복당’ 새누리 또 ‘분란’

입력 2016-06-16 17:53 수정 2016-06-16 21:54
유승민 의원을 비롯한 탈당파 무소속 의원들에 대한 ‘일괄 복당’ 결정에 새누리당이 발칵 뒤집혔다.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복당 문제로 당 내분 사태가 재연되자 거취를 고민하고 나섰고, 고위 당정청회의도 전격 취소됐다. 가까스로 봉합됐던 여권 내홍이 ‘유승민 복당’이라는 뇌관을 건드리자마자 다시 폭발한 것이다.

김선동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은 16일 오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비대위원장이 상당히 무거운 표정으로 당사를 떠났다”며 “(김 위원장이) 거취 문제까지도 생각해봐야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앞서 비대위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4·13총선 공천 파동 당시 탈당했던 유승민 윤상현 의원 등 무소속 의원들에 대한 일괄 복당 허용을 무기명 표결로 결정했다. 비대위 결정으로 유 의원 등 이미 복당을 신청한 4명의 복당 절차가 사실상 승인됐다.

복당이 결정된 의원 4명과 복당 신청을 하지 않은 3명이 입당하게 되면 7석이 늘면서 최대 129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된다.

친박(친박근혜)계는 복당 결정 소식이 전해지자 즉각 반발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표결에 반대했지만 다수 비박(비박근혜)계 비대위원들이 밀어붙여 복당안을 가결시켰다고 주장했다. 친박계인 김태흠 제1사무부총장은 “의원총회를 통해 전체 의견을 수렴해야 하는데 일부 비대위원들이 쿠데타하듯 복당을 밀어붙였다”고 비판했다. 이에 비박(비박근혜)계 비대위원들은 “비대위원 전원 합의에 따른 민주적 절차에 따른 결과”라고 반박했다.

거취 고민에 들어간 김 위원장은 17일 예정됐던 고위 당정청회의도 불참을 통보, 결국 회의가 취소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김 위원장이 사퇴하면 비대위 전체가 해체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어 새누리당은 다시 지도부 공백 상태에 빠지게 된다. 또 8월 9일 예정된 전당대회 개최도 불투명해진다.

복당 문제를 둘러싼 계파 갈등으로 ‘김희옥 혁신비대위’ 출범 이후 안정되는 듯했던 새누리당이 다시 걷잡을 수 없는 수렁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