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회계사회(한공회) 새 회장을 뽑는 정기총회를 앞두고 젊은 회계사들이 들끓고 있다.
청년회계사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한공회가 310명의 청년회원이 제안한 회칙개정안의 총회 상정을 막았고, 의안상정 가처분소송에는 김앤장을 대리인으로 선정해 회비를 낭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청년회계사회는 전자투표 도입, 투표기간 연장, 평의원회의 참여 확대 등을 요구하는 개정안을 지난달 20일 제출했다. 한공회 평의원회는 이를 부결시켰다. 한공회 관계자는 “평의원회에서 정상적인 절차로 결정한 것”이라며 “총회까지의 시일이 촉박해 의안을 공지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해명했다.
청년회계사들이 회칙 개정을 요구한 것은 회계법인 부실감사가 이슈인데도 한공회가 개혁에 나서지 않는다는 불만 때문이다. 청년회계사회 이총희 대표는 “회계사들이 기업 수주를 받는 을의 처지에 있는 상황을 개선해야 하는데 한공회는 여론이 잠잠해지기만 기다리고 있다”며 “우선 회장 선거에 더 많은 회계사들이 참여하도록 개선하자고 제안했는데 이마저 거부당했다”고 말했다.
회장 후보들도 이들의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 기호 1번 이만우 고려대 교수는 “지금은 투표 시간이 딱 2시간이고, 현장에서 바쁜 회원들은 참석하기 어렵다”며 “투표기간을 늘리자는 주장에 공감하고, 다른 방안도 2030위원회를 만들어 수렴해 회칙개정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기호 2번 최중경 전 지식경제부 장관도 “선거제도는 더 많은 민의를 수렴하는 방식으로 가는 게 맞고, 별도로 청년위원회를 열어 청년의 비전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기호 3번 민만기 후보도 선거제도 개선을 공약했다.
정부의 회계감사제도 개편 방안도 선거 쟁점이다. 금융위는 회계법인 대표에게 부실감사 책임을 지우는 방향으로 외감법 개정을 추진하고, 금융감독원은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에 진행 중인 소송과 내부규제를 명시하도록 했다. 이 후보는 “청년 회원들이 수백명씩 감사현장을 떠나는 이유도 억울한 감사책임에 불안을 느끼기 때문”이라며 “책임보험 공동계약제도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최 후보는 “금융위 대책은 법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감사보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저한도를 설정하고, 사전 공탁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내홍 겪는 한국공인회계사회
입력 2016-06-16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