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남상태 前 사장 수억 뒷돈 포착

입력 2016-06-15 21:26 수정 2016-06-15 23:36
남상태(66)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물류운송 사업을 하는 대학 동창에게 특혜를 주고 거액의 뒷돈을 챙긴 정황이 검찰에 포착됐다. 남 전 사장은 동창 소유 회사에 차명으로 10억원 안팎의 지분투자를 해 수억원의 배당금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대우조선 수사 착수 일주일 만에 경영비리 핵심 인물까지 발 빠르게 접근해 가고 있다.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15일 대우조선의 운송 협력업체인 휴맥스해운항공 회장 정모(65)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조세포탈과 업무상횡령, 배임증재 및 증거위조 교사 혐의가 적용됐다. 대우조선 경영비리 전반을 대상으로 한 이번 수사에서 첫 번째 구속영장 청구다. 검찰은 전날 정씨를 긴급체포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정씨 측이 범죄 사실과 관련된 서류를 조작하는 정황이 나와 수사를 서둘렀다”고 말했다.

정씨는 남 전 사장의 연세대 동창으로, 남 전 사장 재직(2006∼2012년) 당시부터 특혜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다. 검찰은 정씨가 사업상 특혜를 받는 대가로 남 전 사장에게 최소 수억원 규모의 뒷돈을 건넨 것으로 본다. 이 자금은 정씨가 빼돌린 수십억원 가량의 회삿돈에서 나온 것으로 검찰은 판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 전 사장은 정씨가 운영하는 싱가포르 업체의 차명 지분투자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2007∼2008년 정씨가 대주주인 I사, T사와 자항선(스스로 항해하는 대형 바지선)을 이용한 선박블록 해상운송 위탁 계약을 차례로 맺으면서 10년간 독점적 지위를 부여했다. 두 업체는 입찰 직전에서야 소규모 자본금을 바탕으로 급조된 회사로 전해졌다. 대우조선은 이후 몇 차례 과다하게 운임을 높여줘 40억원 가량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우조선은 2010년 정씨가 거액을 투자한 부산국제물류(BIDC)와의 육상 운송계약, 물류센터 이용 계약에서도 특혜적 조치를 해 줘 100억원 이상의 부당 이득을 안겼다는 의혹도 있다. 대우조선 감사위원회가 지난해 9월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면서 낸 진정서에서도 남 전 사장 관련 5가지 비리 의혹 중 2개가 정씨와 연결된 내용이다.

검찰은 정씨 신병을 확보한 뒤 남 전 사장의 각종 비리 의혹에 대한 수사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남 전 사장이 비자금을 조성해 자신의 연임 문제와 사업상 도움을 받기 위해 정·관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도 주요 수사 대상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