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메트로컴, 단독응찰 특혜 아닌가… 강남역 등 반복 사고 무슨 조치 취했나”

입력 2016-06-13 21:36
13일 열린 서울시의회 정례회에서 시의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구의역 사망사고’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의 책임과 미흡한 대응을 성토했다. 승강장 안전문(스크린도어) 제작·설치 운영사업자인 유진메트로컴에 대한 ‘특혜 의혹’을 제기하며 책임자에 대한 증인신문 채택 추진도 거론했다.

첫 질의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박진형(강북3) 의원은 “19세 비정규직 청년의 죽음을 시민들이 포스트잇과 국화로 애도할 때 박 시장은 어디에 있었느냐”며 박 시장의 안이한 대응을 비판했다. 박 시장이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메피아’(서울메트로+마피아)의 존재를 자세히 몰랐다고 말한 데 대해서도 “좀더 일찍 알았어야 했다”고 추궁했다.

박 의원은 또 2004년 4월 당시 광고회사였던 유진메트로컴이 스크린도어 제작·설치 운영사업자 선정에 단독응찰을 해 사업권을 따낸 것과 관련,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일부 이사들이 반대했는데도 사업자로 선정된 데는 외압이 있었다며 이명박 전 대통령의 핵심측근들인 강경호 당시 서울메트로 사장과 김백준 전 서울메트로 감사를 지목했다.

박 의원은 “유진메트로컴이 비정규직의 희생을 바탕으로 매출을 올렸고 수익의 상당부분이 특정 대주주의 배를 불렸다”며 당시 관련자들에 대해 업무상 배임죄를 물을 생각이 없느냐고 물었다. 박 시장은 이에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새누리당 성중기(강남1) 의원은 스크린도어 사고가 반복된 점을 거론하며 “지난 성수역과 강남역 사고 때 무슨 조치를 취했느냐”고 따져 물었다. 박 시장은 이에 대해 “지난해 8월 강남역 사고 이후 2인1조 체제와 자회사 전환 등의 조치를 취했는데 현장에선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며 “모든 게 제 불찰”이라고 몸을 낮췄다. 시정 질문은 15일까지 이어진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