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3일 20대 국회 개원 연설을 하면서 여야 의원들과 두루 눈을 맞췄다. 표정도 부드러웠다. 지난해 10월 예산안 시정연설 때 국정 역사 교과서를 언급하며 야당을 향해 ‘레이저 시선’을 보냈을 때와는 180도 달랐다.
연설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국민’(34회)이었다. 박 대통령은 20대 국회가 국민의 삶을 위한 민생 중심의 국회로 거듭나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경제’(29회)와 ‘국회’(24회)도 자주 등장했다. 국회와의 협력을 강조하는 대목에선 ‘화합’ ‘상생’ ‘협치’를 직접 언급했다.
박 대통령이 본회의장에 입장할 때 통로 좌우에 앉아 있던 새누리당 의원들은 모두 일어서서 박수로 환영했다. 의원 상당수가 당 상징인 빨간색 넥타이를 맸다. 두 야당은 예우가 달랐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와 천정대 공동대표, 박지원 원내대표는 기립박수를 보낸 반면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우상호 원내대표 등은 일어서긴 했지만 박수는 치지 않았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기립과 박수 여부를 개별 의원 판단에 맡겼다. 현역 의원이 아닌 새누리당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4층 방청석에 앉아 연설을 지켜봤다.
연설을 마친 박 대통령은 뒤돌아서 국회의장석으로 손을 뻗어 정세균 의장과 악수했다. 박 대통령이 연단에서 내려오자 맨 앞줄에 앉아 있던 국민의당 김수민 의원이 일어나 허리를 90도 가까이 숙여 인사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퇴장할 때까지 중앙 통로 양쪽에 줄지어 서서 박수를 쳤다. 19대 때처럼 스마트폰을 꺼내 사진을 찍는 이는 없었다. 박 대통령은 서청원 의원에게 두 번 손을 흔들었고, 서 의원 옆에 있던 김무성 전 대표와도 스치듯 악수했다. 박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로 낙인 찍혔던 무소속 유승민 의원은 연설 도중 여러 번 박수를 쳐 눈길을 끌었다.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진행된 박 대통령과 5부 요인, 여야 3당 지도부의 환담은 덕담으로 시작됐다. 지난달 27일 박 대통령이 국회 상임위원회 차원의 청문회를 활성화한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 요구(거부권 행사)한 이후 야당과의 첫 대면이었지만 냉랭한 분위기는 아니었다. 박 대통령은 “국회와 대화하고 소통해나갈 예정인데 많이 도와 달라”고 하면서 가볍게 목례하는 등 자세를 낮췄다. 비공개 환담에서도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에게 “2당의 역할이 중요하니 잘 도와달라”고 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더민주 소속이던 정 의장이 탈당해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공동 1당이 됐다는 얘기에 대한 화답이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 1시간12분간 머물렀다. 이 중 27분을 개원연설에, 5부 요인과 여야 지도부와의 환담에 18분을 할애했다.
박 대통령의 국회 연설은 취임 후 다섯 번째였다. 2013년 11월 첫 시정연설 때 “앞으로 매년 정기국회 때마다 직접 국회에서 연설을 하겠다”고 한 뒤로 매년 약속을 지켰다. 지난 2월엔 북핵 문제를 주제로 국정에 관한 연설을 했었다.
더민주는 “국회와 소통, 협력의 의지를 밝힌 것은 의미 있게 받아들인다”면서도 “경제위기, 남북관계를 풀기 위한 해법에 대해선 국회와 더 많은 대화가 필요해보인다”고 했다. 특히 “노동법 개정을 압박한 것은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朴 대통령 국회 개원 연설] ‘레이저 시선’에서 ‘여유있는 눈길’로
입력 2016-06-13 19:10 수정 2016-06-13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