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률이 극히 낮아 35% 의무채용을 법제화하라는 목소리가 지방자치단체와 정치권에서 확산되고 있다. 지역청년들의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전북 전주시·완주군 등 혁신도시가 입주한 지자체들이 최근 혁신도시 내 지역인재 채용 35% 의무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혁신도시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김승수 전주시장은 14일 전주에서 열리는 전국혁신도시협의회에서 이 내용을 공식 거론하고 정치권과 공조에 나설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전국 10개 혁신도시 내 12개 자치단체장들은 이날 지역인재 35% 고용의무 법제화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완주군도 정치권과 함께 의무채용 법제화에 나서는 한편, 일자리 전담 TF팀을 구성하고 취업연계 사업을 발굴하기로 나가기로 했다.
정치권에서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김광수(전주시갑·국민의당) 의원은 최근 지역인재 35% 의무채용을 담은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장병완(광주 동구남구갑·국민의당) 의원도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처럼 지자체와 정치권이 적극 나선 것은 지방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률이 평균 13.5%(정규직)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혁신도시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충북 4.2%를 비롯, 경남 8%, 강원 8.8%, 경북 10.4%, 제주 10.5% 등에 머물렀다. 이밖에 대구가 13.8%, 전북이 15%에 그치고 가장 높은 부산도 21%에 불과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국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35% 채용 법제화를”
입력 2016-06-13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