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전반기 국회 상임위원장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무겁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여소야대 국회에서 벌어질 ‘총성 없는’ 개별 전투의 중심에 서 있기 때문이다. 13일 마무리된 상임위원장 인선에서 최전선인 법사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여야가 ‘주포’를 배치한 것도 같은 이유다.
야당에서 여당으로 위원장이 바뀐 법사위의 경우 새누리당은 검사 출신 권성동 의원(3선)을 전반기 첫 1년 위원장으로 세웠다. 본회의 전 ‘마지막 관문’을 사수할 적임자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명박정부 때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낸 권 의원은 정치적 현안과 관련한 특별위원회의 단골 위원·간사를 도맡을 정도로 전투력에선 여당 내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권 의원은 지난 대선에서 NLL 논란 등 가장 치열한 여야 대치 현장의 맨 앞에 서 있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장하나 전 의원도 라디오방송에서 “상임위에서 본 권 의원의 실력은 정말 발군”이라며 “새누리당에 큰 무기가 하나 쥐어진 셈”이라고 평가했다.
더민주는 야당이 가져온 예결위원장에 김현미 의원(3선)을 투입했다. 387조원(올해 기준)의 나랏돈을 총괄하는 예결위원장을 여성 의원이 맡은 건 헌정 사상 최초다. 문재인 전 대표 초대 비서실장을 맡았던 김 의원은 세월호 참사 땐 국정조사 야당 간사를 맡는 등 주요 현안마다 최전선에서 공세를 담당했던 ‘강경파 여걸(女傑)’이다. 17대 대선에선 ‘BBK 사건 저격수’로 이름을 떨치기도 했다.
김 신임 예결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내년 예산안에 누리과정 문제 종결 방안이 포함돼야 한다”며 “여력이 있는 부분에서 세금을 걷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부분을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의 입장과는 다른 목소리로 예결위가 격전장이 될 것임을 예고한 대목이다.
한편 이날 당내 조율이 안 돼 경선을 치른 상반기 기획재정위원장은 새누리당 4선인 조경태 의원이 맡는 것으로 확정됐다. 역시 경선을 치른 안전행정위원장과 정무위원장엔 3선인 유재중·이진복 의원이 각각 선출됐다.한장희 고승혁 기자
jhhan@kmib.co.kr
[정치뉴스]
☞
☞
☞
☞
대선 앞둔 국회 전투… 여야, 최전선 법사위·예결위에 강경파 배치
입력 2016-06-13 18:00 수정 2016-06-13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