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12일 구의역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의 틀을 확고하게 바꾸는 계기로 삼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서울시청에서 열린 구의역 사고 해결을 위한 시민토론회에 참석, “노동존중특별시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미치는 노력이 너무 부족했다. 반성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형 노동혁명’ ‘서울형 구조개혁’을 천명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번 사고의 원인과 재발방지 대책에 대한 시민들의 질타와 가감없는 의견들이 쏟아졌다.
패널로 나선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위험의 외주화가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현장 노동자에게 위험한 작업 중지 요청권을 보장하고 시민안전감독관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김진억 희망연대 노조 국장은 “정부와 재벌, 정치권이 비정규직 노동자를 확산하고 제도화하는 법안을 끊임없이 만들고 있다”며 “노동시장 유연화를 폐기해 이런 환경을 개선하지 않으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은수미 전 국회의원은 ‘하청사회’가 부른 사고라고 규정하고 시민이 주도하는 하청사회 넘기를 제안했다.
우리 사회의 ‘빨리빨리’ 문화가 사고의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오선근 공공교통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하청 불공정 계약과 ‘빨리빨리’ 조직문화가 사고를 불렀다”고 지적했다. 박두용 한성대 교수는 “좀 느리게 살자. 배차간격을 10분 정도 늦춰보자”고 제안했다.
재발방지 대책으로 시민이 참여하는 안전 노·사·민·정 거버넌스를 구축하자는 의견이 많았고 서울시의 안전연구소 설립과 발주처 책임강화 제안도 나왔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사회뉴스]
☞
☞
☞
☞
박원순 시장 “구의역 사고, 서울시 틀 바꾸는 계기 삼겠다”
입력 2016-06-12 21:23 수정 2016-06-13 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