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공요금을 성실히 납부하면 신용등급을 올려주는 제도가 시행된 이후 4개월 동안 2100여명이 신용등급 상승 혜택을 받았다. 금융 당국이 제도 시행 당시 최대 708만명이 혜택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던 것에 비하면 미미한 수치다. 정작 불편한 자료제출 절차 등의 개선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감독원은 12일 통신·공공요금 성실납부실적을 제출한 2만5274명 중 2만3867명의 신용평점이 상승했다고 밝혔다. 점수가 올라도 실제 신용등급이 한 단계 이상 상승한 이들은 2166명에 불과했다. 당초 금감원은 지난 1월 제도를 시행하면서 최소 212만명에서 최대 708만명이 신용등급 상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제도는 소비자가 통신·공공요금 납부실적을 신용평가사(CB)에 제출하면 납부 기간에 따라 신용평점에 가산점을 주는 방식이다. 신용평가사는 납부실적에 따라 5∼15점의 가산점을 주는데, 신용등급 구간 폭은 30∼100점 정도다. 최대 15점이 오른다고 해도 곧바로 신용등급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청년들이 가장 큰 혜택을 볼 수 있는 통신요금의 경우 납부실적을 제출한 사례도 적었다. 요금 납부실적을 팩스 등으로 신용평가사에 보내야 하는 절차가 불편했다. 게다가 가산점을 유지하려면 6개월마다 실적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금감원은 가산점 폭을 늘리고, 납부실적을 다수 제출하면 가중치를 더 부여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통신회사와 공공기관이 정보 제공에 동의한 소비자의 정보를 CB에 직접 주는 식으로 절차상 불편함도 개선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인 신용등급은 단기간에 개선하기 어렵다”며 “소비자들이 납부실적을 CB에 꾸준히 제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경제뉴스]
☞
☞
☞
[비즈카페] 통신·공공요금 잘 내면 신용등급 상승, 최대 708만명이라더니 고작 2166명뿐
입력 2016-06-12 18:03 수정 2016-06-12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