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민 의원 홍보비 리베이트 의혹 사건으로 국민의당이 표방한 ‘깨끗한 정치’ 이미지가 한 방에 훅 날아갈 위기에 처했다. 이 사건은 김 의원뿐 아니라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의 오른 팔인 박선숙 의원까지 개입한 것으로 전해져 사실 여부에 따라서는 당이 뿌리째 흔들릴 수도 있는 메가톤급이다. 국민의당이 이상돈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진상조사단을 꾸려 13일부터 조사에 들어간다고 하니 이른 시일 내에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기대한다.
진상조사단을 꾸린 자체가 사건의 파장이 예사롭지 않다는 방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김 의원과 박 의원을 각각 총선 홍보물 제작 과정에서 2억여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와 허위 세금계산서를 제출해 해당 액수를 선거비용으로 돌려받으려 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을 때만 해도 국민의당은 “사실이 아니다”며 펄쩍 뛰었다. 안 대표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했다가 “국민께 걱정을 끼쳐드린 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하루 만에 말을 바꿨다. 비리 의혹과 대응 방식 모두 안 대표가 그토록 강조하는 새정치와는 거리가 너무 멀다.
아예 공천 신청을 하지 않은 김 의원이 비례대표 상위 순번에 배정된 것에 대해서도 뒷말이 무성하다. 비례대표 명단이 발표되고 난 뒤에야 그가 7번을 받은 걸 알았다는 비례대표 추천 위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는 마당이다. 이로 인해 다른 영입 전문가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리베이트 의혹과 별도로 비례대표 선정에 또 다른 비리가 없었는지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검찰에서 수사에 착수한 이상 당 진상조사단이 면피성 결과를 내놓진 않을 것으로 본다. 행여 그랬다간 안 대표의 대권 꿈은 물거품이 된다는 걸 각오해야 한다.
국민의당 주변에선 이 사건을 두고 터질 게 터졌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안 대표 측근간·계파간 알력 다툼이 선관위 고발을 불렀다는 지적이다. 총선을 앞두고 급조된 당에 여러 세력이 몰리면서 공천과 당직 인선 과정에서 마찰이 심했다. 겉포장만 새정치였지 내용물은 기득권과 진영논리 등 안 대표가 청산 대상 1순위로 꼽은 구정치로 가득 차 있다는 말이다. 국민의당이 진실을 명백하게 밝혀 환부를 하나도 남김없이 도려내야 위기를 돌파할 수 있다.
[사설] 비리 의혹으로 새정치와 더 멀어진 국민의당
입력 2016-06-12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