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세계수영대회 개최권 박탈 위기

입력 2016-06-10 21:29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와 관련, 최근 국제수영연맹(FINA)이 대회 취소 가능성을 시사한 내용이 담긴 이메일을 보낸 것에 대해 광주시가 대회를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서신을 보내기로 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FINA의 ‘최후통첩’에 대응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하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광주시가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적극 대응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윤장현 광주시장은 2019세계수영선수대권대회 조직위원장 명의로 FINA가 문체부를 경유해 광주시에 보낸 서신에 대한 입장을 이르면 11일 중 회신할 예정이다.

답신에는 빠른 시일 내에 사무총장 적임자를 선임하고 FINA가 우려하는 사항에 대해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점과 함께 대회 취소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지를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FINA는 지난달 24일 문체부에 4가지 조건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대회를 취소할 수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냈다. FINA는 대회 예산, 마케팅·홍보 계획, 경기시설 확정, 능력과 경험을 갖춘 조직위 사무총장 인선 등 4개항에 대한 정부 보증을 요구했다.

그러나 문체부는 “정부 차원에서는 대응하지 않기로 하고 광주시와 수영대회 조직위에서 대응하도록 요구했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광주시가 대회 유치 당시 위조된 문서를 제출한 것 등을 문제 삼아 예산지원 등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세계수영대회 총 사업비는 1935억원(국비 508억, 시비 714억, 사업수입 등 기타 713억원)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확보된 예산은 시비 17억원 등 37억원이 전부다. 국비는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쪽지예산’으로 편성된 20억원이 전부다.

조직위 사무총장 인선도 겉돌고 있다. 시는 지난달 김윤석 전 2015유니버시아드 조직위 사무총장을 내정하고 문체부 동의까지 받았다가 백지화했다. 지난 3월 행정자치부에 부이사관을 본부장으로 2과, 4담당, 24명 규모로 제출한 지원본부 조직 승인안도 추인되지 않고 있다.

정부가 적극 지원에 나서지 않을 경우 재정이 취약한 광주시가 대회를 준비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대회 취소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광주시는 이미 지급한 개최권료 89억원과 보증금 24억원, 위약금 500만 달러(60억원), 삼성이 지급하기로 한 개최권료 1000만 달러(120억원) 등 최소한 300억원대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국제적 망신과 신인도 하락도 불가피하다.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2019년 7∼8월 207개국 1만5000여명의 선수와 임원이 참가한 가운데 광주에서 열릴 예정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