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창립 50주년을 맞는 롯데그룹이 검찰의 전방위 수사 확대로 최대 위기를 맞았다. 그룹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호텔롯데 상장, 롯데면세점 특허 확보 등 굵직한 그룹 현안이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정리되는 듯했던 경영권 분쟁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검찰이 롯데마트 가습기 살균제, 롯데면세점 입점 로비 의혹에 이어 그룹 비자금으로 수사를 확대하면서 당장 호텔롯데 상장 작업이 더욱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이달 29일로 예정됐던 호텔롯데 상장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의 면세점 로비 의혹이 제기되면서 다음달 21일로 미뤄졌다. 면세점사업부, 호텔사업부, 월드사업부 등으로 이뤄진 호텔롯데가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상장 연기가 불가피해진 것이다.
하지만 검찰이 그룹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함에 따라 호텔롯데 상장 일정이 더욱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 1월 28일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한 호텔롯데는 통과 후 6개월 내인 다음달 28일 안에 상장을 진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상장 절차를 밟아야 한다.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 재취득 희망도 불투명해졌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11월 관세청의 면세점 특허 심사에서 월드타워점 특허를 상실했으나 지난 4월 시내면세점 추가 방침으로 특허를 되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됐다. 검찰 수사 결과 호텔롯데의 회계 부정이나 비자금 조성 의혹이 드러날 경우 올해 말로 예정된 특허 심사에서 불리한 처지에 놓이게 된다.
또 한동안 잠잠했던 경영권 분쟁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형인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이 검찰 수사 확대를 이유로 신동빈 회장에 대한 공세를 강화할 경우 일본 내 주주 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밖에 올해 12월로 예정된 롯데월드타워 완공 역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롯데월드타워 운영사인 롯데물산의 노병용 대표가 수사받고 있는 데 이어 비자금 수사가 확대될 경우 마무리 공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관련뉴스]
☞
☞
☞
호텔롯데 상장 등 핵심사업에도 불똥
입력 2016-06-10 17:47 수정 2016-06-10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