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경영 비리 전반을 수사하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의 1순위 표적은 남상태(66) 전 사장이다. 남 전 사장은 2006년부터 6년간 회사를 이끌었고, 후임 고재호(61) 전 사장 재임 시절에도 큰 사내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검찰은 대우조선해양이 겪고 있는 현재의 경영 악화 연원을 남 전 사장 이래 9년간의 사익(私益) 추구성 사업 확장과 그와 연결된 비리행위에서 찾으려 한다. 대우조선해양은 고 전 사장마저 물러난 뒤에야 내부 감찰을 벌여 지난해 9월과 올 1월 전직 경영진을 수사해 달라는 진정서를 검찰에 접수했다.
내부 감찰에서 제기된 800억원대 배임 의혹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서울중앙지검에 낸 진정서에 전직 경영진이 회사에 800억원대 손해를 끼쳤다는 내용을 담았다. 남 전 사장이 특정인과 특정업체에 특혜적 조치를 했고, 그 결과 회사가 막대한 손실을 떠안게 됐다는 내용이다. 감사위는 문제의 사업으로 삼우중공업 지분 인수, 오만 선상호텔 사업, 당산동 사옥 매입, 부산국제물류 부당 계약, 자항선(중량물 운반용 특수선) 해상운송 위탁 사업 등 5가지를 지목했다. 지난 8일 압수수색에서도 해당 업체와 관련자들이 다수 포함됐다.
검찰은 진정서에 등장하는 5개 사업 관련 의혹을 경영진 비리 수사의 주요 단서로 활용할 계획이다. 현재 수사는 ‘수조원대 분식회계 의혹’과 그 원인과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한 ‘경영진 불법 행위’ 규명이란 두 갈래로 진행되고 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9일 “회사 내에서 제기한 문제점은 당연히 살펴봐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400억 날린 선상호텔 사업과 측근의 개입
대우조선해양 오만법인은 2010년부터 현지 선상호텔을 건립하는 프로젝트을 진행하면서 3453만4000달러(약 399억원)를 투입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애초부터 사업성이 없었다는 게 감사위 판단이다. 사업을 수의계약으로 따낸 인테리어업체 D사는 남 전 사장의 측근인 건축가 이창하(60)씨 소유였다. 이씨는 오만법인 고문으로 있으면서 선박 선정, 검선 및 인수 등을 총괄했다. 감사위는 이씨가 영업중단을 고려 중인 노후 선박을 선정해 공사비용을 과다하게 추가했고, 허위로 공사비를 받아간 정황도 나왔다고 주장했다. 대우조선해양 이사회에는 사업성이나 비용과 관련해 허위·왜곡되거나 중요 사실이 아예 누락된 보고서가 올라갔다고 한다. 이 사업은 2013년 12월 중단됐고, 감사위는 투자금 전액을 회사 손실로 봤다. 또 이씨 회사가 324만 달러(약 37억원)가량을 부당하게 지급받은 것으로 결론 냈다.
대우조선해양의 2007년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사옥 매입 과정에도 이씨가 연루돼 있다. 빌딩을 매입하면서 굳이 D사를 시행사로 선정하고, 분양 과정에서도 특혜성 지원을 했다는 내용이다. 감사위는 이를 통해 회사가 79억원가량의 손해를 본 것으로 추산했다.
지분 고가 매입으로 특혜 의혹
남 전 사장은 대우조선이 2011년 삼우중공업을 인수할 때 불필요한 잔여 지분까지 고가로 인수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1년 7월 삼우중공업 지분 76.57%를 매입한 뒤 같은 해 11월 나머지 지분을 당초 매입가의 3배에 달하는 190억원에 사들였다.
대우조선해양은 2010∼2011년 물류비용 절약 명목에서 부산국제물류㈜를 인수했다. 이후 기존 운송업체들과 개별 체결하던 운송계약이 종료되자 부산국제물류와 일괄 계약을 맺으면서 기존보다 10%가량 인상된 운송비를 지불했다. 부산국제물류와 2013년 12월까지 체결돼 있던 기존의 물류센터 이용 계약을 해지하고, 새로 24%가량 인상된 가격에 계약을 맺기도 했다.
남 전 사장은 이밖에 2007년 5월 대학 동창이 대표로 있는 운송업체에 10년간 독점적 이익이 보장되는 특혜성 수의계약을 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위는 이 계약으로 회사가 40억원 이상의 손해를 본 것으로 추산했다.
남 전 사장과 고 전 사장은 분식회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이후인 지난해 9월 국회 국정감사에 불려나와 감사위의 진정서 내용에 대해 정무위원들의 질타를 듣기도 했다. 남 전 사장의 대학 동창과 측근 등에게 특혜가 주어진 이유 등이 추궁 대상이었다. 남 전 사장은 “책임져야 될 일이 생긴다면 책임지겠다”면서도 “아직은 책임질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지호일 이경원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
대우조선해양 수사 1순위 남상태 前 사장과 관련된 경영비리 5가지
입력 2016-06-10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