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 시장에 갇혀있던 한국 사이버 보안 사업을 수출 주도형으로 바꾸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9일 제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정보보호 산업 진흥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5년간 진행될 이번 계획의 골자는 창업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정보보호 투자 확대 및 신시장 창출, 내수 위주에서 글로벌 진출로 시장 확대 등 크게 세 가지다.
정부가 가장 방점을 둔 부분은 ‘국외 진출’이다. 현재 사이버보안 산업은 중소기업이 대다수여서 국내 영업에 주력해 왔다. 국외 매출은 지난해 1000억원대에 그쳤다. 미래부는 아프리카와 중남미 등에 디지털 포렌식(인터넷 첨단 범죄의 증거 조사) 등 사이버보안 상품 수출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또 사이버보안 영역의 국외 매출을 늘려 정보보호 산업의 수출액을 현재 1조6000억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4조5000억원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연구소와 투자기관 등을 묶은 정보보호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창업 활성화도 추진한다. 정부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타트업 지원 등을 바탕으로 정보보호 스타트업을 2020년까지 100여개로 늘리고 보안 관련 일자리 1만9000개도 새로 창출하기로 했다. 선진국 대비 기술 격차도 현재 1.5년에서 0.2년으로 줄일 방침이다.박세환 기자
[경제뉴스]
☞
☞
☞
☞
우물안 사이버 보안 산업 수출 지원한다
입력 2016-06-09 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