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일 박원순 서울시장을 불러 긴급 정책간담회를 열고 서울지하철 구의역 스크린도어 작업자 사망 사고에 대한 신속한 수습을 촉구했다. ‘박원순 책임론’이 당과 대권 주자인 박 시장에 끼치는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국정조사, 청문회 개최 주장까지 나오는 등 박 시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아픈 손가락’을 위한 출구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더민주는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서울시와 정책간담회를 열고 구의역 사고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을 요구했다. 박 시장은 “이 사건에는 무조건 제 불찰과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고인과 유가족께 사죄를 드린다”며 “청년의 꿈을 지키기 못하고 초심을 잃은 데 대해 죄송하고 당에 누를 끼쳐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박 시장은 90도로 허리를 숙이며 사과하는 등 시종일관 ‘낮은 자세’를 취했다. 그는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도 참석자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당의 수치가 아니라 자랑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고개를 숙였다고 한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당은 박 시장 말을 그대로 믿고 이것이 계기가 돼 서울메트로에 대한 혁신이 이뤄질 거라고 믿는다”며 “박 시장이 책임지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 달라”고 했다.
박 시장은 재발방지 대책으로 ‘진상조사 뒤 책임자 처벌’ ‘안전관리 업무 직영화’ ‘메피아(서울메트로+관피아) 근절’ ‘지하철 안전 시스템 전면 재정비’ 등을 제시했다. 사고가 하도급 문제, 청년 일자리 문제 등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 근본적인 처방을 찾겠다고도 했다. 그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서울시 힘만으로 안 된다”며 “중앙정부와 국회의 도움도 절실하다”고 협조를 요청했다.
더민주는 구의역 사고에 대한 박 시장의 대처를 놓고 비판이 쏟아지자 그간 대응 수위를 고심해 왔다. 당내 유력 대권 주자인 박 시장을 보호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대처를 소홀히 할 경우 지지층 민심이 이탈할 수 있어서다. 고심 끝에 나온 게 이번 간담회다. 국민의당 일각에서 청문회 주장이, 새누리당에서는 국정조사 주장이 공개적으로 나오자 차라리 미리 간담회를 열어 박 시장에게 사과와 해명, 대책 발표의 자리를 만들어주기로 한 것이다.
이재경 대변인은 당이 ‘박 시장 구하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박 시장은 귀중한 분이고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분이라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감싸서 될 문제가 아니다. 감쌀 일을 감싸야 하는 것 아닌가. (간담회에서) 초기 대응에 대한 쓴소리를 많이 했다”고 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합동참모본부를 방문하며 중도 외연 확장을 위한 안보 행보를 가속화했다. 야당 대표로 합참을 방문한 것은 김 대표가 처음이다. 김 대표는 다만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질문에는 “현재 한·미 간 교섭 중이기 때문에 뭐라 말씀드릴 수 없다”고 했다.
문동성 최승욱 기자
theMoon@kmib.co.kr
[정치뉴스]
☞
☞
☞
☞
더민주, 박원순 불러 ‘회초리’… 여론 역풍에 출구찾기
입력 2016-06-09 0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