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대우조선 부실고리 정조준

입력 2016-06-08 18:31 수정 2016-06-09 00:27
전국 단위 대형 비리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비리를 겨냥한 전방위 수사에 돌입했다. 옛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후신인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지난 1월 공식 출범한 이후 130여일 만에 본격 가동된 것이다.

수조원대 분식회계 혐의와 경영진의 불법행위, 경영부실 은폐 의혹 등이 1차 수사 대상이다. 최정예 수사팀 전원이 동원된 이상 경영진의 비자금 조성 의혹, 방만 경영을 비호해준 금융 당국 및 정치권력 등에 대한 수사로 확대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특별수사단은 8일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외부 감사를 담당한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등 10여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했다. 남상태(66) 고재호(61) 전 사장의 집과 지인 소유 회사도 포함됐다. 검찰은 주요 수사 대상자 수십명을 출국금지했다. 김기동 특별수사단장은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에서 조 단위 분식회계 의혹과 경영진 비리 등에 대한 다수의 수사 단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검찰이 대우조선해양 구조조정 방안이 나온 당일 수사에 착수한 건 경영 정상화와 부실 책임 처벌은 별개라는 경고 메시지를 조선·해운업계에 보낸 것으로 읽힌다.

검찰은 남상태 고재호 두 전직 사장 재임 기간인 2006∼2015년 ‘9년’간의 비리 의혹을 집중 수사할 예정이다. 이명박정부 시절의 정·관계 유착 의혹도 수사 구상안에 들었을 공산이 크다. 검찰은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년간 지속적·조직적으로 분식회계를 저지른 정황을 잡은 상태다. 대우조선해양은 2013년 4242억원, 2014년 4543억원가량의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했다가 최근에야 각각 7898억원, 7545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기재정정 공시를 한 바 있다. 검찰은 경영진 연임을 위해 고의로 손실을 감췄던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남 전 사장이 측근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고, 대학 동창 회사를 인수한 뒤 특혜를 줬다는 의혹 등도 수사할 계획이다.》관련기사 4면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