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선택은 역시 코코본드였다. 8일 국책은행 자본확충 방안을 발표하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코코본드를 발행하면 한국은행 등이 참여한 펀드가 11조원 한도로 이를 사주기로 했다고 전했다.
코코본드는 조건부자본증권(Contingent Convertible Bond)의 영문 머리글자(Co-Co)를 따서 만든 별명인데, 평상시에는 자본으로 인정받기에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을 높이는 방편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금융위기가 오면 주식으로 자동 전환되거나 상각돼 버린다. 상각(償却)은 ‘장부에서 지운다’는 뜻의 회계용어다. 휴지조각이 되어 손해를 본다는 뜻이다. 한국엔 주식 전환형이 드물고, 상각형이 대부분이다.
구조조정 국면에서 국내 은행들은 자본확충을 위해 점차 코코본드 발행을 늘리고 있다. 신한은행이 3월 5억 달러를 신규 발행한 데 이어 산업은행도 이번 자본확충 방안과 상관없이 7000억원 규모의 코코본드를 발행했다. 산은 관계자는 “위험 부담이 있지만 고금리 상품”이라며 “기관투자가를 중심으로 한 시장 반응은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외에선 코코본드 발행 자체를 은행권 신인도 저하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자본시장 불안 요소로 인식하는 것이다. 코코본드 자체가 은행 부실화의 경우 국민 세금으로 구제하는 것을 막고, 채권자들에게 미리 위험을 분산시키자는 의미로 고안된 상품이다. 지난 2월 도이치뱅크는 코코본드에 대한 이자 미지급 우려로 주식이 폭락하는 사태를 겪었다. 올해 들어 유럽 및 아시아계 은행들은 코코본드 발행량을 줄이고 있다. 미국 은행들은 위기 때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는 이유로 코코본드를 발행하지 않는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
[조선 해운 구조조정]자본확충 ‘만병통치약’ 된 코코본드
입력 2016-06-08 18:24 수정 2016-06-09 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