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51) 네이처리퍼블릭 대표를 둘러싼 법조비리 수사가 난항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검찰은 판·검사 로비 창구로 지목된 전관 변호사와 브로커 등을 구속했지만 이들의 ‘모르쇠 전술’에 막혀 수사 진척에 애를 먹는 중이다.
이번 수사는 정 대표의 상습도박 혐의 구명을 위한 법조 로비와 매장 입점 등 사업 확장 로비 의혹의 두 갈래로 진행되고 있다. 검찰은 최유정(46) 변호사를 시작으로 브로커 이민희(56)씨, 홍만표(57) 변호사를 차례로 구속하면서 정 대표의 법조 로비 통로 3인을 모두 확보했다. 그런데 이들을 통해 뻗어나간 판·검사 실제 로비 여부에 대한 수사는 가시적 성과가 없다. 검찰 관계자도 7일 “브로커 이씨나 홍 변호사 등이 실마리를 풀어줘야 하는데 잘 안 되고 있다”며 “수사가 더딘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140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로 구속영장이 발부된 정 대표 역시 지난 6일 재수감된 이후 진술을 꺼리고 있다고 한다.
검찰은 정황자료 확보 차원에서 정 대표의 해외 원정도박 사건을 맡았던 검사와 수사관 일부에 대한 금융거래 추적에 나섰다. 부장검사 3명을 포함해 10여명을 수사 대상에 올려놓고 소환조사 및 전화통화 기록 분석도 진행 중이다. 다만 검찰은 “아직 혐의가 드러난 것은 없다” “선제적 조치 수준” 등으로 선을 긋고 있다. 로비(변호사법 위반) 혐의 규명은 결국 ‘선수’로 뛴 3인방의 입을 여는 게 관건이기 때문이다. 3명 모두 법률 전문가 내지 수사 관련 베테랑이다 보니 정 대표에게 돈을 받은 사실은 인정하되, 자금의 성격은 부인하는 전술을 쓰고 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정 대표의 사업 로비와 관련해 김명수(57·수감 중) 전 서울시의회 의장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그는 2011년 “네이처리퍼블릭의 지하철 매장 입점 문제를 도와 달라”는 취지로 당시 김익환(66) 서울메트로 사장에게 압력을 넣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전 의장은 “서울시의 관련 정책에 부합하는 사안이었기 때문”이라며 로비 연루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호일 황인호 기자 blue51@kmib.co.kr
[사회뉴스]
☞
☞
☞
☞
로비창구 핵심 3인방 모르쇠… 정운호 법조비리 수사 ‘암초’
입력 2016-06-07 18:32 수정 2016-06-07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