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유승민 주호영 윤상현 의원 등 탈당 의원들의 복당 문제 논의를 원 구성 협상 이후로 미뤘다. 조기 복당, 선별 복당, 전당대회 이후 차기 지도부 위임 등 당내 여러 주장이 쏟아져 나오자 일단 결정을 보류한 셈이다. 비대위는 대신 총선 참패의 원인을 분석한 백서 발간과 지도체제 개편 등 당 쇄신 작업을 서두르기로 했다.
김희옥 비대위원장은 7일 비대위 회의에서 “새누리당은 정치의 눈이 아닌 국민 눈에 맞춰 혁신해야 한다. 혁신위는 반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정치적 셈법에 개의치 않고 일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정근 비대위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비대위는 최고위원회를 대신해 주요 당무를 심의·의결해야 한다. 전권을 가지고 결정해 나가야 한다”며 “만약 당내에서 (비대위 결정에 대해) 반발이 나오면 이런 당은 없애버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대위가 8월 예정된 전당대회 관리형 기구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비대위는 이날 회의에서 ‘정당·정치 분과위원회’ ‘경제·민생 분과위원회’ 2개 분과위원 업무도 분장하며 속도를 냈다. 정당·정치 분과는 유병곤 비대위원이 위원장을 맡고 권성동 사무총장, 김영우 정승 민세진 비대위원이 참여한다. 지도체제 개편, 공천 규칙에 관한 사안 등을 다룰 예정이다. 민생·경제 분과는 오정근 비대위원이 위원장을 맡고 김광림 정책위의장과 이학재 임윤선 비대위원, 김종석 여의도연구원장이 참여한다.
비대위는 이날 무소속 의원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도 의논했지만 ‘원 구성 협상 후 본격 논의’라는 결론만 냈다. 지상욱 비대위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정진석 원내대표가 ‘원 구성 마무리 전에는 복당은 없다’고 발표했었다. 비대위도 같은 기조”라고 말했다. 원 구성 타결 전 제1당 지위를 회복해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 한다는 비판을 받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복당 문제가 총선 참패 책임론과 연계된 민감한 현안이어서 내부 논의 시간을 벌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제는 비대위 내부에서도 이견이 첨예하게 갈린 상태다. 특히 조만간 발간될 백서에서 총선 과정에 논란이 됐던 계파 갈등, 진박(진실한 친박근혜) 마케팅, 공천 및 옥새 파동 등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책임론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
실제 친박(친박근혜)계 홍문종 의원은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7월 말이나 8월 초에 전당대회를 하게 되면 당이 구성되고 당 대표가 만들어지고 최고위원들이 추대된다”며 “그분들에 의해서 복당 문제도 처음부터 다시 한 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가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박(비박근혜)계 김영우 비대위원은 원 구성 협상 이후 일괄 복당을 주장했다.
한편 지 대변인은 전대 개최시기에 대해 “실무적으로 여러 날짜를 알아보는 중”이라며 “8월 초, 9월 초 등 얘기가 나오는데 실무 준비와 혁신안이 이뤄지는 과정을 봐가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정치뉴스]
☞
☞
☞
☞
새누리, 뜨거운 숙제 ‘복당 문제’는 일단 보류
입력 2016-06-07 18:15 수정 2016-06-07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