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연극계 최고 화제작을 꼽으라면 단연 연출가 이해랑(1916∼89) 선생 탄생 100주년 기념공연인 ‘햄릿’(7월 12일∼8월 7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일 것이다. 국립극장과 신시컴퍼니가 공동 제작하는 이 작품에 권성덕(75) 전무송(75) 박정자(74) 손숙(72) 정동환(67) 김성녀(66) 유인촌(65) 윤석화(60) 손봉숙(60) 등 거물배우 9명이 출연하기 때문이다. 평균 나이 68세인 이들을 한 무대에서 보는 것 자체가 전무후무한 사건이다.
9명의 배우 가운데 햄릿의 타이틀롤을 맡은 유인촌은 감회가 남다르다. 햄릿 역을 무려 6번째 연기하게 된 그는 1989년 이해랑 선생의 유작 햄릿에서도 주역을 맡았었다.
7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에서 만난 그는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러시아 음악극 ‘홀스또메르’와 함께 내가 가장 많이 연기한 작품”이라면서 “하지만 이번엔 햄릿을 다시 연기할지 많이 망설였다. 나이든 배우들만 나오는 게 자칫 관객들 눈에 웃기게 비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됐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71년 배우로 데뷔한 그는 햄릿과 인연이 깊다. 81년 극단 현대극장에서 표재순이 연출한 햄릿을 시작으로 85년과 89년 호암아트홀에서 이해랑 연출, 93년 극단 자유에서 김정옥 연출, 99년 유씨어터에서 김아라 연출로 햄릿을 연기한 바 있다. 그의 석사 논문 주제 역시 햄릿이었다. 2005년 자신의 극단인 유씨어터 10주년 기념공연으로 이 작품을 올리려다 배우 캐스팅이 여의치 않아 홀스또메르로 바꿨을 정도다.
유인촌은 “햄릿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이라고 생각한다. 삶과 죽음에 둘러싸인 인간의 비극이 적나라하게 그려져 있기 때문”이라며 “특히 햄릿이란 인물은 왕자, 군인, 철학자, 시인 등 한 인물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성향을 내포하고 있어서 배우라면 욕심을 내지 않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원한 햄릿’으로 불린 고(故) 김동원(1916∼2006) 선생님이 햄릿에 출연할 때 착용하시던 벨트를 ‘내 이후의 햄릿은 너’라며 주시기도 하셨다”고 덧붙였다.
이해랑 선생에 대한 추억도 꺼내놓았다. 그는 “70∼80년대 한국 연극계에서 부조리극이나 실험극이 한창 유행할 때였지만 이해랑 선생님은 사실주의 연극에 충실하셨다. 배우의 내면 연기를 중시하는 선생님은 무대에서 ‘오버’하는 것을 굉장히 싫어하셨다”고 회고했다. 또 “원래는 89년 ‘햄릿’에 출연하지 않으려고 했었다. 당시 TV 드라마를 2∼3개 동시에 할 때라 연극 연습을 제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거절하고 자리를 뜨려는데 선생님께서 ‘이게 나한테 마지막이야’라고 말씀하시는 거다. 연세가 있기 때문에 당신의 마지막 연출로 생각하는 것 같았다. 차마 발이 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드라마와 병행해 연극 연습에 유동적으로 참여하기로 하고 출연하게 됐는데, 선생님께서 개막 1주일 전에 돌아가셨다. 그때 햄릿을 하지 않았으면 평생 한이 됐을 뻔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손진책이 연출하는 ‘햄릿’은 중견 작가 배삼식이 각색을 맡아 원로 배우들이 무대에서 이 작품을 연기한다는 ‘극중극’으로 바뀌었다. 처음부터 원로배우들이 극중 인물을 연기하면 관객들이 몰입하기 어려울 것을 감안한 조치다. 그는 “출연배우 9명이 워낙 개성이 강해서 어떻게 조화를 이룰지 걱정됐었다. 하지만 다들 이렇게 모인 것만으로도 기분 좋게 연습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유인촌 “다양한 캐릭터 햄릿, 배우라면 욕심 내지 않을 수 없지요”
입력 2016-06-07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