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물론 국민들께서 ‘고등어가 미세먼지의 주범’이라고 오해하는 측면이 있으며, 이는 당초 발표의도와 다른 것임.”
환경부는 해양수산부, 국무조정실과 함께 6일 예정에 없던 설명자료를 냈다. 찬밥 신세가 된 ‘고등어’의 누명을 벗기려는 것이다. 지난달 23일 고등어구이를 비롯한 음식의 조리 과정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낸 지 보름 만이다.
당시 보도자료의 제목은 ‘요리할 때는 꼭 창문을 열고 환기하세요!’다. ‘주방 요리 시 실내공기 관리 가이드’를 제작해 배포한다는 내용이 골자였다. 환경부는 “대기 중 미세먼지가 심각한 상황에서 발표되는 바람에 의도와 달리 국민이 고등어를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오해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환경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등어구이, 고기구이 등에 따른 ‘생물성연소’는 전국 미세먼지(PM2.5) 배출량의 12%를 차지한다. 배출 기여도로는 5%에 불과하다. 사업장(41%), 건설기계(17%), 발전소(14%), 경유차(11%), 비산먼지(6%)에 못 미친다.
그동안 고등어 소비는 줄고 가격까지 하락했다. 해수부는 고등어 가격 및 소비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소비촉진 행사를 추진키로 했다. 환경부와 해수부 등은 “최근 고등어 가격 하락에는 고등어 금어기가 끝나면서 생산량이 늘어난 점도 고려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사회뉴스]
☞
☞
☞
“고등어, 죄 없습니다” 뒤늦게 진화 나선 환경부
입력 2016-06-06 18:25 수정 2016-06-06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