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중국 견제는 전방위적이다. 이번에는 인도 껴안기다. 인도는 오랫동안 비동맹 노선을 유지했지만 미국과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다.
오바마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미 언론들이 5일 보도했다. 두 정상이 다시 만난 것은 워싱턴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린 지 2개월여 만이다. 2014년 모디 총리가 취임한 뒤로 무려 일곱 번째 만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정상회담에서 미국은 인도 내 군사기지를 보급과 수리 목적으로 이용하고 인도의 원자력공급국그룹(NSG) 가입을 지원키로 합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과 인도의 군사적·경제적 협력 강화는 중국 견제라는 공통의 이해 때문이다. 인도는 인도양에서 활동이 잦아진 중국군에 맞서기 위해 미군의 도움이 필요하게 됐다. 모디 총리는 3년 전만 해도 힌두교도의 이슬람교도 학살과 관련해 미국의 입국금지 대상에 올랐다. 하지만 이번 방미 기간에 미 의회에서 연설하는 등 미국의 주요 동맹국 정상 못지않은 대접을 받을 예정이다. 미국은 또 인도의 원자력발전 확대 계획에 공감을 표시하고 NSG 가입을 돕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은 핵보유국인 인도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NSG 가입에 반대하고 있다.
베트남, 일본, 인도를 순식간에 휩쓴 오바마 대통령의 화려한 외교에 중국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필리핀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내면서 맞대응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 3주 동안 남중국해 스카버러섬 부근에서 조업한 필리핀 어선은 한 척도 중국에 나포되지 않았다.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의 산호초 세컨드토머스 부근을 순찰한 필리핀 해군 역시 중국과 충돌하지 않았다.
필리핀 민간 연구기관인 정보·국가안보 연구센터의 로멜 반라오이 이사는 “이달 말 국제상설중재재판소 남중국해 분쟁 중재 결과 발표를 앞두고 중국이 필리핀 어부의 조업 단속을 완화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월드뉴스]
☞
☞
☞
☞
☞
오바마, 이번엔 인도 끌어들여 中 압박… 7일 모디 총리와 정상회담
입력 2016-06-06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