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흑심… 유럽 전직 관료 회전문 채용

입력 2016-06-06 04:32

글로벌 포털업계 1위인 구글이 기업 이익을 위해 세계 정계에 영향력을 확대하려 한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악해지지 말자(Don’t Be Evil)’라는 구호에 맞지 않는 이율배반적 행태라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4일(현지시간) ‘구글 투명성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단체 ‘캠페인포어카운터빌리티(CfA)’를 인용해 구글이 지난 10년간 유럽을 중심으로 정부 주요 인사를 채용하거나 각국 정부 요직에 구글에서 일했던 사람이 채용되는 경우가 최소 80여건 일어났다고 전했다.

발표에 따르면 구글은 2005년부터 유럽연합(EU) 소속 각국 정부에서 일했던 인사 최소 65명을 채용했다. 특히 2011년에는 연평균보다 3배 넘는 18명을 채용했다.

여기에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의 정책자문관 세라 헌터를 비롯해 토머스 걸비나스 전 리투아니아 특사, 게르기오스 마브로스 전 그리스 외무장관이 포함됐다. 2013년 영국 부총리를 지낸 닉 클레그의 정책자문관 베리티 하딩은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자회사 ‘딥마인드’의 정책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최근 세계적으로 구글을 겨냥한 독점규제와 사생활 보호 움직임에 맞서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조치로 분석된다. 또 프랑스 검찰이 지난달 24일 구글의 파리지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등 유럽 각국 정부가 조세회피를 차단하려는 데 따른 것이기도 하다.

유럽 각국 역시 같은 기간 구글의 전직 임원 15명을 채용했다. 영국 인터넷안전보안 장관으로 임명된 조애나 쉴즈 전 구글 상무이사와 지난해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의 정책 자문을 맡은 에릭 슈미츠 전 구글 회장도 포함됐다. CfA는 이 역시 구글이 정부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라고 봤다.

CfA는 지난달에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취임 뒤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구글의 공공정책 담당 디렉터이자 로비스트 요한나 셸턴이 총 128차례 백악관을 방문했다고 백악관 방문기록을 조회해 발표했다. 구글 및 관련 기업 직원은 이 기간 1주일에 한 번 이상인 427차례 백악관을 오갔다.

조효석 기자

[월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