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참패 후 50일간의 진통 끝에 가까스로 첫발을 뗀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회가 3일 첫 회의를 가졌다. 비대위원들은 비장한 각오로 거침없는 쇄신을 다짐했지만 당 안팎의 기대 수준은 높지 않다. 혁신비대위가 될지 관리비대위에 그칠지는 ‘복당 문제’라는 선결과제를 어떻게 풀어낼지에 달렸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견해다.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후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주재한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은 “국민이 새누리당에 주신 마지막 기회로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며 “당이 바뀌는 모습을 국민이 느낄 수 있도록 최대한 신속하게 혁신 작업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새누리당이 새롭게 태어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과 국민을 보듬고 챙길 정당은 없다는 각오로 비대위를 운영할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은 비대위의 3대 활동목표로 ‘혁신·민생·통합’을 제시했다.
이학재 비대위원은 “친박(친박근혜), 비박(비박근혜) 찾다가 ‘쪽박’ 찼다”는 글귀를 소개하며 당내 계파 갈등을 혁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김 위원장과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만찬을 함께하며 쇄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남 지사는 “총선을 통해 양당제가 한계에 왔다는 것을 보여준 이상 민의에 부응하기 위해 20대 국회 초반부터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을 개혁과제로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안도 주제에 올랐다. 원 지사와 오 전 시장은 제주도 전기차 도입 상황, 시장 재임 시절 경험 등을 소개하며 장기적인 미세먼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내놨다.
비대위는 오는 7일부터 1·2분과로 나눠 혁신 논의에 돌입한다. 유승민 윤상현 의원을 비롯한 탈당파 의원들의 복당 문제도 조만간 결론 내겠다고 밝혔다. 지상욱 대변인은 “복당 문제는 가부를 떠나서 조속한 시일 내에 논의키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류인 친박계가 복당 허용 문제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차기 지도부로 넘겨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비대위가 조속한 결정을 내리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당내에선 비대위가 총선 참패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에 착수한다지만 시간이 부족한 데다 권한도 제대로 부여하지 못해 혁신 작업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정치뉴스]
☞
☞
☞
☞
김희옥·정진석, 잠룡들과 당 쇄신 방안 논의했다
입력 2016-06-04 0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