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호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롯데그룹 계열사와 오너 일가를 압수수색했다. 네이처리퍼블릭 정운호 대표의 원정 도박에서 시작된 사건은 전관 비리, 횡령·탈세 비리, 군납 비리를 거쳐 면세점 비리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메트로 지하철 상가의 입점 비리 의혹도 남아 있고, 롯데그룹 경영 비리 수사로 확대될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어렵다. 정 대표가 구치소 접견실에서 최유정 변호사의 손목을 비틀지 않았다면, 최 변호사가 정 대표를 폭행 혐의로 고소하지 않았다면 이 모든 비리가 다 묻힐 뻔했다.
정운호 게이트의 비리 사슬은 도박 혐의 구명과 사업 확장 로비의 두 갈래로 얽혀 있다. 정 대표는 도박 혐의를 벗어보려고 홍만표 최유정 변호사를 고용했다. 두 전관(前官) 변호사는 거액을 받고 현직 판·검사와 접촉했다. 홍 변호사에게는 10억원대 탈세와 네이처리퍼블릭 매장의 지하철역 입점 로비를 위해 2억원을 받은 혐의까지 적용됐다. 이제 정 대표가 군대 매점에 납품하려고 예비역 장성을 통해 로비했다는 의혹, 롯데면세점에 입점하려고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에게 수십억원을 제공한 혐의에 대해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고구마줄기처럼 꼬리를 문 비리는 그동안 사회의 감시망을 비웃으며 버젓이 자행되고 있었다. 계속 캐다보면 무엇이 더 나올지 가늠하기도 어렵다. 신 이사장은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의 장녀다. 오너 일가가 경영권을 악용해 뒷돈을 챙겼다면 단순한 비리를 넘어선 모럴 해저드의 문제다. 롯데면세점의 다른 입점업주와는 그런 일이 없었을까 의심케 한다. 서울메트로는 구의역 참사에서 하청업체에 휘둘러온 ‘갑질’ 행태가 드러났다. 정 대표의 입점 로비가 통했다면 다른 업체와는 어땠는지도 살펴봐야 할 것이다. 정운호 게이트에 얽힌 비리 수사는 그 뿌리가 뽑힐 때까지 계속돼야 한다.
[사설] 롯데로 번진 정운호 게이트… 그 끝은 어디일까
입력 2016-06-03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