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낀박’의 세(勢)를 늘려서 완벽한 계파주의 혁파를 이루고 싶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3일 국회에서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갖고 “서서히 낀박의 세가 확장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사이에 끼어 ‘낀박’으로 불린다는 질문에 ‘농반진반’으로 내놓은 답변이었다.
정 원내대표는 “이 눈치, 저 눈치를 본다는 따가운 의미가 있지만 과히 기분 나쁘지 않다”며 “중도 중심의 역할을 상정해서 그런 별칭을 붙여줬다고 아전인수식으로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친박과 비박 구도는 소멸 단계로 간다”고 했다. 이어 “한 달, 두 달, 세 달 뒤가 다를 것이고 내년 우리 당의 대통령 후보가 가시화되면 그야말로 계파 구분은 소멸되고 정리될 것”이라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꼭 1년처럼 느껴진 한 달”이라고도 했다. 비대위 인선이 친박계 반발에 부닥치는 등 정점을 친 계파 갈등을 가리키는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과의 3자 회동 등을 통해 당 수습책을 마련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양대 계파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면서 당청관계를 재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수평적 당청관계를 공언했던 그는 “우리 당이 체질을 바꾸기 위해 몸부림치듯 지난 한 달 동안 청와대의 체질도 분명히 바뀐 측면이 있다”고 했다. 또 “과거처럼 일방통행식으로 청와대의 ‘오더(지시)’를 그대로 이행하는 당 운영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원내대표로서 주어진 권한과 책임을 재량권을 갖고 (행사)하겠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여소야대 구도에선 청와대와 대통령이 마음먹은 대로 다 되지 않는다”고 했다. 이어 “때로는 수모감도 느낄지 모르고, 지난한 국면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며 “인내와 노력, (당청 간) 소통이 필요하다”고 했다.
세월호 특별조사위 활동기간 연장에 대해선 “특별조사가 상당 부분 이뤄졌고 특별히 기한을 연장해야 할 만큼 남은 과제가 있다는 데 과연 많은 국민이 동의할지 반문하고 싶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정치뉴스]
☞
☞
☞
☞
정진석 새누리 원내대표 취임 한 달… “‘낀박’ 勢 늘려 계파주의 혁파 기대”
입력 2016-06-03 1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