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일 만에 꾸린 與지도부, 쇄신보다 갈등 봉합형

입력 2016-06-03 04:34
김희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이 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4차 전국위원회에 참석해 일어나 인사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참석 위원들의 박수로 만장일치 추인을 받았다. 구성찬 기자

새누리당이 김희옥 전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을 수장으로 하는 혁신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완료했다. 4·13총선 참패 이후 50일 만에 가까스로 지도부 공백을 메우면서 당 쇄신 작업에도 돛을 올릴 수 있게 됐다.

이번 비대위는 강성 비박(비박근혜)계 위주의 구성이 한 차례 무산된 뒤 탄생하는 아픔을 겪었고, 위원 구성도 계파 안배가 이뤄지면서 쇄신보다는 갈등 봉합에 초점을 맞춘 ‘관리형 임시 지도부’라는 평가도 나왔다.

김 위원장은 2일 당 전국위원회 의결 후 가진 위원장직 수락 연설에서 “비상대책위 앞에 혁신이라는 두 글자가 더 붙어 있다는 건 당명만 빼고 모두 다 바꿔야 한다는 절박감을 의미한다”며 “왜 이렇게 됐는지 철저히 반성하고 이를 고치는 혁신을 통해 다시 일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략적 파당과 이로 인한 갈등은 국민이 바라는 정치의 모습이 아니다”며 “퇴행적 모습(계파 갈등)이 분명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 민생·통합·혁신은 다음 대선을 향한 새누리당의 키워드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은 전국위회의 후 곧바로 상임전국위를 열어 김 위원장이 내정한 10명의 비대위원을 의결했다. 비대위원은 당내 인사 5명, 당외 인사 5명 동수로 구성됐다.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세 자리를 당연직 원내 인사로 하고, 3선의 비박계 김영우(경기 포천·가평) 친박(친박근혜)계 이학재(인천 서갑) 의원이 추가로 임명됐다.

김 의원과 이 의원은 20대 총선 직후 친박계 2선 후퇴를 주장했던 당 혁신모임 멤버였다. 새누리당 지지세가 약한 수도권을 지역구로 두고 있으면서 계파 내에서는 비교적 온건하다는 평가를 받는 공통점이 있다. 혁신 이미지를 쌓으면서도 계파 입장을 적절히 반영한 셈이다. 정 원내대표가 내정했던 이혜훈 김세연 이진복 홍일표 정운천 의원과 한기호 전 의원은 제외됐고 김영우 의원만 유지됐다. 김 의원은 정 원내대표와 대학 동문이고 언론사 선후배 사이다.

외부 인사로는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와 유병곤 전 국회 사무차장, 정승 전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민세진 동국대 교수, 임윤선 변호사가 참여했다. 오 교수는 한국은행 출신으로 한국국제금융학회장과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지낸 금융 전문가다. 유 전 사무차장은 현재 국회 정치쇄신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고 정 전 처장은 농림·식품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김 위원장은 이후 당연직인 홍문표 사무총장 직무대행 대신 권성동 의원을 사무총장으로 하는 당직 인선을 단행했다. 대표 비서실장에는 재선의 김선동 의원을, 제1사무부총장에는 김태흠 의원을 임명했다. 비대위 대변인은 지상욱 김현아 의원이, 법률지원단장은 최교일 의원이 맡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3일 비대위 첫 회의를 열어 당직 인선을 의결하고 당 쇄신 작업과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실무 작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당장 무소속 의원들 복당 문제도 비대위의 논의 대상이다. 김영우 의원은 전국위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복당 문제를 보류하면 계파 문제나 혁신 문제를 시작하기 어렵다. 비켜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은 결국 공천 파동이었고, 따지고 보면 유승민 공천 파동”이라며 “선별 복당을 한다면 앞으로 이야기할 혁신에 대해 국민이 믿어줄지 의문이 든다”고 강조했다.전웅빈 권지혜 기자

imung@kmib.co.kr

[정치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