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후보지 28곳 선정

입력 2016-06-02 21:55

주민이 주도해 지역 정체성에 맞는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100억∼500억원의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하는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후보지가 가려졌다.

서울시는 경제기반형 1곳,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 7곳,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 20곳 등 28곳의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이들 후보지의 주민참여 준비단계를 거쳐 사업 실현가능성, 추진주체 역량 등을 종합 평가해 2017년 대상지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서울역 역세권,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13곳의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단계 대상지를 선정했다.

경제기반형 후보지는 광역 차원의 신 경제거점 가능성을, 중심시가지형 후보지는 역사문화특화 및 도심 활성화 중심지로서 잠재력을 가진 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심사했다. 또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는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쇠퇴했으나 문화·복지, 상권회복 가능성 등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 주민 스스로 지역자원 발굴·활용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 주민공동체 활성화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한 노후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선발했다.

최대 500억원을 지원받는 경제기반형 후보지는 영등포 경인로 지역이 유일하게 선정됐다. 중심시가지형 후보지(최대 200억원 지원) 7곳은 정동 일대(중구), 동묘지역 일대(종로구), 마장동 일대(성동구), 용산전자상가 일대(용산구), 독산동 우시장 부지(금천구), 청량리·제기동 일대(동대문구), 4·19 사거리(강북구) 일대다.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최대 100억원 지원) 20곳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희망지(규모 10만㎡ 이상, 1∼3개 행정동 범위) 15곳, 주거환경관리사업 희망지(규모 10만㎡ 미만, 1개 행정동 범위) 5곳으로 구분된다.

선정된 20개 희망지에는 올해 하반기에 1곳 당 8000만∼1억2000만원이 지원된다. 이를 기반으로 주민대상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 공모사업, 지역의제 발굴 및 기초조사 등 주민참여 강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