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사흘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2일 귀국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면담 등 방중 일정 전반에서 드러난 것은 북한 핵에 대한 양측의 여전한 이견과 ‘그럼에도 혈맹’이라는 최소한의 화해 기류다. 짧은 만남에서 북·중은 서로를 탐색했고 각자 필요한 부분만 취했다.
이 부위원장의 귀국 보따리는 기대보다 허전해 보인다. 대북 제재 해소와 경제 지원 등 당면 과제에 대한 눈에 띄는 성과는 없었다. 북한은 ‘비핵화 불수용’ 원칙부터 들이밀었고 중국은 신중한 대응으로 일관했다.
엇갈리는 양국의 보도만 봐도 그렇다. 2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 부위원장이 시 주석에게 ‘새로운 병진 노선은 추호도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의 ‘체면’을 고려해 핵이라는 말은 뺐지만 사실상 ‘핵·경제 병진 노선’ 주장을 면전에서 되풀이한 셈이다. 시 주석이 “한반도 문제와 관련, 중국의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힌 대목은 전하지 않았다.
시 주석의 공개 발언에 비핵화는 없었다. 대신 시 주석은 “두 나라 노(老)세대 영도자들께서 친히 마련하고 품 들여 키워주신 북·중 친선관계를 대를 이어 발전시키자”고 했다. 서로 한 수씩 주고받았지만 짐짓 모른 척 북한의 관계 회복 의지에 힘을 실어줬다.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사설에서 “북·중 양국이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북핵 문제 해결과 동북아 평화수호에 긍정적인 자산”이라며 “중국은 북한이 대외적 신호를 발신하고 소통하는 데 중요한 채널”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측은 전반적으로 양국의 견해차보다는 중국이 북한의 뒤에 있다는 점만 부각시키고 있다. 향후 진행될 북·중 간 ‘밀고 당기기’에 앞서 숨을 고르는 모양새다.
이는 비핵화 이슈에 대한 진전 없이 ‘제재’ 일변도로 고착화된 현 상황에서 중국이 ‘대화 병행’ 쪽으로 무게 추를 옮겨 주도권을 쥐려 한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유관 국가들이 냉정과 절제를 유지하고, 대화와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 주석의 메시지 역시 한반도 주변국 모두를 향하고 있다. 북한에는 ‘허튼 짓 하지 말라’는 경고를, 같은 날 6자회담 대표 회동을 가진 한·미·일에는 ‘대화가 필요하다’는 훈수로 읽힌다.
우리 정부는 한·중 간 긴밀한 공조는 확고하다는 입장이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 부위원장 방중 기간에 유엔 안보리 언론성명이 채택된 데서 보듯 중국은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이고 엄격하게 이행한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건희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moderato@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비핵화 이견에도… 北·中 최소한의 화해 기류
입력 2016-06-02 18:16 수정 2016-06-02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