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현대·삼성 중공업 자구안, 노사협력이 성공의 조건

입력 2016-06-02 18:09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자구안이 주채권은행에 의해 받아들여지면서 조선업 구조조정이 탄력을 받게 됐다. 2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각각 3조5000억원,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구안을 마련, 구조조정에 돌입키로 했다. 회계법인의 실사 과정이 남아 있지만 큰 무리 없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들 기업은 해외 수주 등 영업활동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해외 일부 선주들은 우리 조선업체의 재무 상태를 우려해 발주를 연기하는 등 차질을 빚었다. 이제 한숨 돌릴 수 있게 된 셈이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고개 하나를 넘은 것에 불과하다. 공급과잉 현상을 보이는 세계 조선시장에서의 활로 개척은 지난할 수밖에 없다.

자구안 내용의 핵심은 자산 매각과 사업 구조조정이나 가장 논란이 되는 부문은 인력 감축이다. 여기에 구조조정의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수천명의 인력을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은 당장 거세게 반발하는 등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현재 자구 방안을 모색 중인 대우조선 노조와 연대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히는 등 충돌도 걱정된다. 일터를 잃게 되는 근로자들의 처지가 딱한 것은 사실이나 고용 유지에만 집착하면 조선산업 전반이 공멸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노사가 고통을 분담하고 서로 협력하는 것이 조선업 위기 탈출의 출발점이란 사실을 엄중히 인식해야겠다. 특히 회사 측은 일정 수준을 정해놓고 무조건 사람을 자르기보다 노동시간 나누기 등 모든 방안을 찾아 해고 대상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또 당국은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절차 등 지원 방안을 하루빨리 마무리해야겠다.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은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고용보험제도 수혜 범위를 한시적으로 확대하는 등의 별도 대책이 필요하다.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따라 구조조정에 혼선을 빚는 발언을 하거나 설익은 정책을 발표함으로써 배가 산으로 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조선업은 이미 수술대에 올랐다. 신속하고 과감하게 환부를 도려내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만이 가장 효과적인 처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