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중·장년층이 ‘인생2막’을 힘차게 시작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문화·예술활동, 교육, 일자리 등 종합적인 지원에 나선다. 서울인구 5명 중 1명을 차지하고 있는 최대 규모 인구집단이면서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50+세대(50∼64세)가 불안한 미래를 제2전성기로 전환시켜 나갈 수 있도록 든든하고 촘촘한 지원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일 기자설명회를 열어 ‘50+종합지원정책’을 발표했다. 시는 50+종합지원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5년간 1956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50+종합지원정책은 50+재단, 50+캠퍼스, 50+센터를 3개축으로 실행된다. 우선 50+재단은 컨트롤타워이자 싱크탱크로 콘텐츠 기획·개발을 총괄하고 50+캠퍼스는 특화된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50+캠퍼스는 단순한 교육이나 지원기관이 아니라 정보와 배움, 일과 문화,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새로운 인생모델을 창조하고 지원하는 광역형 플랫폼으로 50+재단에서 직접 운영한다. 매년 2곳씩 늘려 2018년까지 권역별 총 6곳에 건립할 예정이다. 50+캠퍼스는 올해 260개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4000개 강좌를 개설해 20만명의 졸업생을 배출할 예정이다.
19곳의 50+센터는 캠퍼스보다 조금 작은 규모로 풀뿌리 현장 안내소 및 지역사회 정착의 실행거점이 된다. 현재 도심·동작·영등포 등 3개 센터가 운영중이고 노원 센터는 개관을 앞두고 있다. 시는 2020년까지 총 19개 센터를 설치해 전 자치구에 50+지원시설(캠퍼스·센터) 1곳씩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50+센터는 올해 600개의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1만1000개 강좌를 개설해 15만40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50+세대가 경험을 살려 개인의 성취와 사회공헌, 일과 삶이 균형을 이루는 ‘앙코르 커리어’(사회공헌 일자리)를 제안했다. 아울러 월 40여만원의 활동비를 지급하는 공공일자리, 관광사업·협동조합을 통한 민간일자리, 맞춤형 취·창업 지원, 기술교육 등 일자리 창출 계획도 발표했다.
시는 새로운 복지수요를 지원하는 ‘복지연계형’, 경험을 전수하는 ‘세대통합형’, 마을 문제를 해결하는 ‘지역문제 해결형’ 등 보람일자리를 통해 5년간 1만2000여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민간일자리는 대기업, 금융권 등의 퇴직(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서울형 앙코르 펠로우십’이 대표적이다. 50+세대의 자산과 외국어능력을 활용한 도시민박업, 문화관광해설사, 농촌과 연결한 로컬푸드 매니저, 중소기업 일손뱅크 협동조합 운영 등 신개념의 일자리 발굴도 확대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사회뉴스]
☞
☞
☞
☞
서울시, 50+세대 ‘인생 2막’ 종합지원 나선다
입력 2016-06-01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