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 원(院) 구성 협상이 갈수록 꼬여가면서 이번에도 ‘지각 개원’을 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끝내 새누리당이 양보하지 않을 경우 오는 7일 ‘자율투표’로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야당이 양보할 여지를 주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요구만 한다”며 강력 반발했다.
국회의장직과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놓고 여야가 한 발도 물러서지 않으면서 협상은 제자리만 맴도는 모양새다.
더민주 박완주,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31일 오전 국회에서 만나 원 구성 협상을 이어갔다. 박 원내수석은 회동 이후 “6월 7일 반드시 의장단 선거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이 회동에서 빠진 데 대해선 “야당끼리 먼저 조율해 협공하려고 한다”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또 “지금 와서 (새누리당이) 의총에서 ‘의장직을 갖고 간다’는 둥 판을 뒤집으면 말이 되느냐”고도 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문화체육 부문을 떼어 여성가족위원회와 합치는 방안도 논의했다. 환경노동위원회를 분리하는 데 대해선 합의를 보지 못했다.
새누리당은 발끈했다. 자율투표에 부쳐 의장단을 선출하면 최악의 경우 새누리당이 의장·부의장직을 하나도 차지하지 못하게 된다. 의장과 부의장은 무기명 투표로 뽑되 재적의원 과반수의 득표로 당선되기 때문이다. 122석을 차지한 새누리당은 무소속 의원 일부를 ‘조기 복당’시키더라도 과반에는 못 미친다.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장 자리는 전통적으로 여당 몫”이라며 “야당이 1당이라서 의장직을 가져간다고 하고, 법사위원장은 원래 야당이 해야 되기 때문에 야당 몫이라는 주장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의장직을 새누리당이 차지하는 대신 법제사법위·운영위·예산결산특위 위원장직을 양보하라는 더민주 주장에 대해선 “이례적으로 야당이 의장직을 가져가겠다면 야당이 더 양보해야 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여야가 협상력을 높이려고 서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카드만 꺼내들었다는 분석도 있다. 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양보할 부분은 우리가 고민해보겠다는 입장이었는데 야당끼리 ‘밀실 합의’를 하면서 정쟁만 키우고 숫자로 밀어붙이려 한다”며 “협치가 깨진 것”이라고 했다.
반면 더민주 측은 “결정은 한 시간이면 끝나는데 여당이 패를 안 보여주고 밀고 당기기만 하고 있다”며 “아직도 새누리당은 과반이라고 착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평행선을 달릴 경우 ‘캐스팅보터’로서 국민의당 목소리가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당은 보건복지위·교육문화체육관광위·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산업통상자원위·기획재정위 위원장 중 두 자리를 요구하고 있다.
여야 3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회동을 가졌지만 난항을 거듭했다. 국회법에 따르면 6월 7일까지 의장단을 선출하고, 9일까지 상임위 배정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김경택 고승혁 기자 ptyx@kmib.co.kr
[정치뉴스]
☞
☞
☞
☞
갈수록 꼬이는 원구성 협상… 20대도 ‘지각 개원’
입력 2016-06-01 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