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을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의 복당 논의가 다시 불붙고 있다. 오는 2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임시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하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꼼수’ 비판을 받더라도 20대 국회 원 구성에서 협상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원내 제1당의 지위가 절실하다는 현실론이 힘을 받고 있다.
새누리당엔 복당 여부를 결정할 주체가 없다. 최고위원회의는 4·13 총선 참패 직후 해산됐고 비대위는 김희옥 위원장만 내정된 상태다. 김 내정자가 1일 비대위원 인선안을 발표하고 2일 전국위에서 추인돼야 비대위가 최고위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이번엔 전국위 통과가 무난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복당 추진은 국회의장 사수로 달라진 당내 기류와 무관치 않다. 당 핵심 관계자는 3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야당이 국회의장을 맡는 순간 국민들은 ‘권력의 절반은 넘어갔구나’ 생각할 것”이라며 “의장직 포기를 기정사실화하면 안 된다”고 했다. 상임위 내 안건조정위원회도 걸려 있다. 조정위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해 6명으로 구성되는데, 제1당 소속 위원 수와 나머지 교섭단체 소속 위원 수를 동수로 하도록 돼 있다. 현재 의석수대로라면 더민주 3명, 새누리당 2명, 국민의당 1명이다. 조정위에서 의결(재적 3분의 2 이상 찬성)된 안건은 소위원회 심사를 거친 것으로 보고 곧바로 전체회의로 직행한다. 야당의 동의가 없으면 법안을 통과시키거나 저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복당 논의를 공식화하는 순간 봉합 국면에 들어간 계파 갈등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될 수도 있다. 정 원내대표는 탈당파 무소속 당선인 7명 중 유승민 윤상현 의원을 제외한 5명의 조기복당설이 나오자 “그런 논의를 한 적이 없다. 금시초문이다”고 했다. 김 내정자도 “비대위에서 복당 문제를 안건으로 다룰지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했다. 20대 국회 첫 의원총회에서 계파 청산을 외쳤던 정 원내대표는 이날도 “계파의 핵심이라는 분들이 편 갈라서 만나는 것을 자제하고 만나려면 ‘섞어찌개’ 형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경욱 원내대변인은 비대위 구성 원칙에 대해 “위원장을 포함해 11명이고 당내외 인사 비율은 50대 50”이라고 밝혔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정치뉴스]
☞
☞
☞
☞
與 ‘김희옥 비대위’ 6월 2일 출범… 탈당파 복당 논의 급물살 예고
입력 2016-05-31 18:37 수정 2016-05-31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