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野, 민생올인 카드로 ‘거부권 정국’ 넘는다

입력 2016-05-31 04:47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조봉구 주빌리은행 이사에게 더민주 의원 123명의 이틀치 세비 8179만5000원을 전달하고 있다. 이동희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 공동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천정배 공동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안 대표, 김성식 정책위의장. 이동희 기자
‘여소야대(與小野大)’ 국회의 막이 오른 30일 야권은 일제히 ‘민생 올인’을 외치며 정국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정기국회 전인 8월 27일 전당대회를 열고 새 지도부를 선출키로 하는 등 ‘정쟁 탈피’를 위한 전열 구축에 착수했다. 국민의당은 ‘대여(對與) 전면전’ 선포, 민생 문제 해결 등 ‘투 트랙’ 전략을 내놓았다.

◇정쟁(政爭) 휘말릴라…‘지뢰밭’ 탐색전=더민주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는 국회에서 1차 회의를 갖고 전당대회 일정을 확정했다. 송옥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전대를 정기국회가 시작되는 9월로 넘기는 것은 맞지 않는다. 마침 그날 장소(서울 잠실 올림픽체조경기장)도 비어 있어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준위는 지난해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폐지한 최고위원제와 사무총장제 복원 방안은 결론짓지 못했다. 전준위가 첫 회의에서 ‘골칫덩이’를 뒤로 미루고 전당대회 일정부터 확정한 것은 ‘전당대회 연기론’ 등 당내 이견을 봉합하고 일사불란한 대오를 갖추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밖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의 ‘상시 청문회법’(국회법 개정안) 거부권(재의 요구) 정국 탈출에 안간힘을 썼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첫 의원총회에서 “우리는 정치적 쟁점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민생에 대해 충실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도 KBS라디오에서 “(국회법 개정안이) 그렇게까지 필요한 법이 아니다. 여당이 반란을 일으켜 통과된 법”이라고 강조했다. ‘거부권 논란’은 야당이 아닌 청·여 갈등임을 강조한 것이다.

비공개 의원총회에선 정부·여당은 물론 당에 대한 쓴소리도 나왔다. 양승조 의원은 “재의 요구는 총선 민의를 짓밟는 폭거”라며 원칙적 대응을 주문했다. 전현희 의원은 “계파 다툼이 볼썽사납다”며 계파 청산을, 안호영 의원은 호남 선거 참패에 대한 성찰을 요구했다.

◇국민의당 “대통령이 국회 발목 잡지 말아야”=국민의당도 첫 의원총회를 열고 국회법 개정안 재의 문제와 민생 분야를 투 트랙으로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민생을 앞세워 ‘캐스팅보트’ 정당 입지를 강화하고, 정부와의 전면전을 통해 ‘선명 야당’ 존재감을 부각시키겠다는 다중 포석이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총회에서 “총선 민심은 민생 문제 해결을 가장 중심에 두고 챙겨 달라는 것”이라며 “국가의 미래를 위해 시급한 일을 최우선적으로 챙기는 국회가 돼야 한다”고 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국회야말로 야당의 가장 강력한 투쟁 장소다. 정쟁으로 인해 국회를 버리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박 대통령이 국회의 발목을 잡지 말아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applesu@kmib.co.kr

[정치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