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때이른 대권 행보가 정치권에 ‘중도 빅뱅’을 촉발시켰다. 반 총장의 대선 중량감 평가는 당마다 다르지만 그의 방한 행보를 지켜본 속내는 같다. 반 총장이 중도실용 후보로서 폭발력을 입증하면서 중도로의 외연 확장을 꾀하는 여야 각 당 행보도 가속화되고 있다.
가장 ‘아찔한’ 곳은 국민의당이다. 겉으로는 반 총장의 지지율 상승이 ‘밴드웨건 효과’(다수가 지지하는 듯한 사람을 지지하는 현상)라며 평가절하하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30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새 후보가 나오면 지지율을 잠식당할 수도, 올라갈 수도 있다. 지금은 별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다른 당 핵심 관계자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국민의당 지지율이 다 (반 총장과 경쟁하는) 안철수 대표 것도 아니고, 지지율이란 것도 유동적이다. 특별히 반 총장만 소급해 얘기할 수는 없다”고 했다.
하지만 사실상 온건보수파 중심의 지지층이 겹치는 탓에 내심 방한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도 통화에서 “반 총장과 지지층이 겹치는 부분은 있다. 기존 여의도 정치에 반감을 가진 국민들이 반 총장에 대해 갖는 기대가 반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당은 불평등·격차 해소를 중심으로 한 중도 지향적 정책 과제들을 구체화해 패키지 법안을 내놓는 등 속도전에 나설 예정이다. 또 반 총장이 정치 참여를 선언할 경우 강도 높은 검증 작업도 벼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3자 구도로 치러질 대선이 걱정이다. 여야 일대일 대결에선 승산이 있지만 다자 대결에서 반 총장이 중도표를 싹쓸이하면 정권교체는 난망하다고 본다. 더민주 관계자는 “반 총장의 등장으로 야권이 골치 아파졌다. 3자 구도는 필패”라며 “친박(친박근혜)이 비박을 몰아붙인 것도 반 총장을 통한 정권 재창출 계산이 끝났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전 대표와 안 대표 지지층은 (3자 구도에선) 차라리 새누리당을 찍지 상대방은 안 찍을 것”이라고 했다. 단일화 없인 대선 승리가 어렵다는 우려다.
일단 더민주는 ‘민생 올인’ 행보를 통해 ‘친노 패권주의’와 ‘운동권 정당’ 이미지를 퇴색시키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반 총장에 대해서는 장외 비판으로 응수했다. 정세균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반 총장은 국제적으로 좋은 평판을 받지 못하고 있다. 10년 전 함께 내각에 있을 때에도 대한민국을 책임질 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며 능력을 문제 삼았다.
‘구인난’에 시달리던 새누리당은 연일 ‘반기문 찬가’를 부르고 있다. 반신반의했던 반 총장의 폭발력을 확인해서다. 이달 4주차 리얼미터 주간 집계(23∼27일, 전국 2532명 대상 유무선 병행 RDD방식, 평균 응답률 6.4%,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1.9% 포인트)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은 반 총장 방한 효과로 30.1%를 기록, 1주일 만에 1위를 탈환했다.
강준구 문동성 고승혁 기자eyes@kmib.co.kr
[관련기사보기]
☞
☞
반기문發 ‘중도 빅뱅’ 실용노선 강화에 사활
입력 2016-05-3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