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이 정피아(정치권 출신 인사)로 의심받을 수 있는 사람을 사외이사로 뽑으려다 비판여론이 제기되자 전격 취소했다. 대우조선은 “다음 달 13일 열릴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었던 조대환 법무법인 대오 고문변호사가 일신상의 사유로 후보 자격을 사퇴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대우조선은 조 변호사를 김유식 전 팬오션 부회장 겸 관리인과 함께 사외이사로 선임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조선업에 문외한이면서 박근혜정부와 가까운 조 변호사가 사외이사가 된다는 데 대한 부정적 기류가 확산되면서 자진사퇴 형식을 통해 무산시킨 것이다. 그는 박 대통령이 의원 시절에 만든 싱크탱크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박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을 거치는 등 정치적 성향이 뚜렷한 인물이다. 누가 봐도 인력 감축과 자산 매각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기업의 사외이사로는 어울리지 않는다.
대우조선 사외이사는 형식상 주총 절차를 거치지만 실제로는 당국이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이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마당에 당초 이런 인물을 사외이사로 낙점했다는 발상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자는 것인지, 자리 나누기의 구태를 되풀이하자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대우조선이 이 지경에 이른 데는 사외이사의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탓도 크다. 2000년 대우조선 출범 이후 전체 사외이사 30명 중 60%인 18명이 관료나 정치권 낙하산이란 점이 이를 잘 말해준다. 지금 대우조선은 정피아 사외이사로 소모적 논란을 벌일 때가 아니다. 대우조선 구조조정의 시계는 빠르게 가고 있다. 구조조정 의지를 무참히 꺾는 당국의 어처구니없는 낙하산 인사 행태가 더 이상 되풀이돼서는 결코 안 되겠다.
[사설] 대우조선 구조조정 와중에 벌어진 낙하산 인사 소동
입력 2016-05-30 18:06 수정 2016-05-30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