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은 일상 속에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한 기관 중 하나다. 간은 체내로 유입되는 독소와 노폐물을 75% 이상 해독하며, 영양소 합성 및 면역체계 유지, 세균의 식균 작용 등의 역할을 맡는다. 간 건강이 저하되면 피로감, 권태감 및 식욕 부진 등의 이상증상이 나타나기 쉽다. 수면을 취해도 풀리지 않는 극심한 피로, 나른한 권태감, 심한 숙취 등은 간 기능 저하로 일어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간 기능 개선을 돕는 영양 성분을 찾는다. 직접적으로 간 기능 개선을 위한 성분을 꾸준히 섭취하면 전체적인 간의 대사와 간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간은 손상을 대비해 충분한 예비기능을 갖추고 있어 세포가 파괴되고 기능이 저하돼도 외부로 노출되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기관으로, 건강을 놓치기도 쉽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가정의학과 송상욱 교수는 “간은 절반가량 훼손돼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평상시에도 간 건강을 신경 쓰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두 성분은 ‘UDCA’와 ‘실리마린’으로 알려져 있다. 웅담의 주요 성분으로 잘 알려진 UDCA(우르소데옥시콜산)는 1957년 일본에서 이담제로 소개된 후 효과를 인정받으며 간 기능 개선 성분으로 활용돼 왔다. UDCA의 특징은 간 주요 기능인 노폐물 배출과 대사 작용 등을 활성화시킨다는 점이다. UDCA는 간 세포 내 배설 수송체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간 대사 효소를 활성화하고 원활한 담즙배출을 도와 체내로 유입된 독소와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하는데 영향을 준다. 인체에서는 장간순환을 거치며 자연 생성된다. 하지만 UDCA의 체내 자연 합성 양은 전체 담즙산 중 약 3%에 불과하다. 외부로부터의 꾸준한 섭취로 체내 UDCA의 비율을 높여주면 간과 담즙의 대사에 도움이 된다.
실리마린(Silymarin)은 밀크씨슬(Milk Thistle)의 씨앗에서 얻어낸 생약 추출물로 간세포 파괴를 막는데 보조적인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실리마린의 기능 중 하나로 항산화 효과가 꼽힌다. 체내 대사과정에서 생긴 활성산소종이 간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데, 항산화작용을 통해 간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실리마린은 해독과 대사 등 간 주요 기능을 촉진하는 데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UDCA와 실리마린 외에도 간건강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을 함유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간 건강을 위해서는 간의 주요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한 만큼, 간의 해독과 대사와 같은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인지 꼼꼼히 따져보고 선택해야 한다. UDCA는 미국 FDA 승인이 완료돼 복용법과 용량, 약물상호작용, 주의사항 등이 고지된 성분이다.
이영수 기자
그 ‘간’ 편안들 하신지… ‘UDCA’ ‘실리마린’ 함유된 기능개선제 선택이 중요
입력 2016-06-01 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