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우방까지 외면… 北, 아프리카서도 고립

입력 2016-05-29 21:42 수정 2016-05-30 00:19
북한의 아프리카 거점국가로 불려왔던 우간다의 대북 군사·안보·경찰 분야 협력 중단 선언은 ‘북한 김정은 체제’를 더욱 고립시켜 북한이 받는 압박 수위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간다를 국빈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옵션 포기를 위한 국제환경 조성에 우간다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무세베니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한과의 군사·안보·경찰 분야 협력 중단을 포함한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을 관계부처에 지시했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가 국제사회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우간다의 이런 결정으로 비동맹주의를 표방하는 아프리카 국가들과 전통적으로 긴밀한 유대관계를 이어왔던 북한의 아프리카 외교 역시 상당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현재 우간다에 체류 중인 북한 군·경 교관 50여명도 곧 철수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채택된 안보리 결의 2270호 9항은 북한과의 군사·치안 협력을 금지하고 있다.

무세베니 대통령은 특히 1980, 90년대 세 차례 방북해 김일성 주석을 만나 북·우간다 군사협력 협정을 체결하는 등 북한과의 군사협력에 앞장서 왔던 인사다. 그러나 북한의 ‘2015 국제김일성상’ 수상을 거부하는 등 최근 관계 변화를 모색해왔다.

청와대 김규현 외교안보수석은 “우간다 정부가 우리 측과 경제·안보 등 제반 분야의 협력 강화를 최우선과제로 설정한 것”이라며 “다층적 의미를 가진 전략적 결단”이라고 설명했다. 한·우간다 양국 국방부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처음으로 양국 정보교류, 교육훈련, 방산, 군사기술 분야 협력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남북한 관계가 최근 역전된 셈이다. 무세베니 대통령은 회담에서 계속 한국의 투자, 관광객 방문 등 실질 협력관계 강화를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잠자는 우간다 관광위원회를 깨워 방한한 다음 한국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도 했다. 정상회담은 예정보다 30분 이상 길어진 90분간 진행됐다.

우리나라와 우간다는 또 농업 협력, 농촌개발금융 협력, 새마을금고 협력 등 새마을운동 관련 MOU 5건도 체결했다. 특히 우리 정부는 캄팔라 인근에 첫 새마을운동지도자 교육원인 농업지도자연수원을 열어 새마을 지도자 양성 및 농업기술 전수에 나선다. 우간다에는 현재 30개의 새마을운동 시범마을이 운영 중일 정도로 한국을 롤모델로 삼으려는 무세베니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다. 김 수석은 “무세베니 대통령은 박 대통령의 경호를 스스로 맡겠다고 할 정도로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회담에 앞서 애국가는 무세베니 대통령 지시로 2차례 연주됐다.캄팔라(우간다)=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