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이 거주하는 건물에서 행정업무도 보고 쇼핑과 취미활동을 즐기는 시대가 온다. 주거와 상업시설이 공존하는 주상복합건물에서 공공청사에 주거 및 상업시설이 입주하는 ‘관상복합청사’로 진화하고 있다.
일부 호화청사 논란이 있지만 민·관 복합개발 방식으로 재정부담은 줄이고 주민 편의공간은 확충하며, 민원인의 접근성을 높이는 1석3조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 종로구(구청장 김영종)는 서울 미래유산으로 지정된 본관은 외관을 보존하면서 리모델링하고 1, 2별관 자리에 지하5층, 지상 17층의 신청사를 지을 계획이다. 1922년에 지어진 종로구청 건물은 너무 낡은데다 주차장도 좁아 민원인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신청사에는 주민을 위한 문화시설과 상업시설이 입주한다.
김영종 구청장은 지난 25일 기자들과 만나 “신청사 연면적의 30% 이상을 상업시설로 채워 임대료로 건축비를 갚아나가고 주민들의 세금은 투입하지 않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는 임대료 수입으로 신청사 건축비를 갚고 난 이후에도 매년 약 100억원의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종로구는 지난해 6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민관위탁개발 수탁관리기관으로 선정했다. 이어 10월에는 행정자치부의 중앙투자 심사를 통과했다. 내년 설계공모를 거쳐 2018년 착공해 2020년 말에 입주할 계획이다.
서초구(구청장 조은희)도 공공 업무공간과 주거 및 문화·상업시설이 공존하는 신개념의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구는 지난해 12월 국토부의 ‘공공건축물 리뉴얼 선도사업’ 시범기관으로 선정된데 이어 지난달 27일 국토교통부, LH와 MOU를 체결했다. 수탁기관인 LH에서 금융기관 등을 통해 사업비용을 조달해 개발하고 일정기간 임대수익을 통해 개발수수료와 사업비를 상환하는 방식이다. 2018년 설계를 마치고 2019년 착공해 2020년말 준공할 계획이다. 구는 청사 건립을 위해 조성한 1000억원의 기금 등 예산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은희 구청장은 29일 “청사 사무실과 주차공간이 부족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어왔다”며 “정부와 손잡고 실속형 공공청사의 롤 모델이 되도록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진구(구청장 김기동)도 지어진 지 70여년이 된 현 청사를 헐고 관상복합청사를 추진했으나 서울시 권고에 따라 단독청사로 방향을 틀었다. 하지만 사업부지의 민관복합개발로 발생하는 공공기여를 활용해 건축비를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선진국에서는 관상복합청사 또는 민관복합개발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일본 도쿄의 토시마구 신청사의 경우 저층부에 상업시설, 고층부엔 아파트를 개발한 이익으로 중층부에 청사시설을 새로 건립했다. 영국 환경식품농무부(DEFRA)는 캠브리지 청사를 재건축하고 창출된 용지를 주택용도로 변경해 민간에 매각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구청사 ‘官商복합청사’ 시대 연다
입력 2016-05-29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