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미국 공화당의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몰라 난감해하고 있다. 여기 ‘트럼프 미스터리’ 혹은 ‘트럼프 신드롬’의 비밀을 풀어줄 책이 도착했다. 트럼프가 쓴 회고록 ‘거래의 기술’(살림·사진)이다.
1987년 출간된 이 회고록이 미국은 물론 한국에서 최근 다시 불려나온 건 트럼프를 이해하는 방법이 그 안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거래의 기술’에 대해 “이 책에는 그의 변칙적인 행동 뒤에 숨은 동기들이 나와 있다. 그는 이 책을 선거 전략의 청사진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책은 트럼프가 막말을 일삼는 허세 가득한 사기꾼이 아니라 대단히 치밀하고 집요한 협상가이자 거래의 달인, 강하고 빈틈없고 야비할 정도로 냉정한 사람이라는 걸 알려준다.
트럼프는 이 책에서 자신의 일대기를 들려주면서 삶과 거래의 지침으로 삼아온 11가지 원칙을 소개한다. “크게 생각하라” “항상 최악의 경우를 예상하라” “선택의 폭을 최대한 넓혀라” “발로 뛰면서 시장을 조사하라” “지렛대를 사용하라” “입지보다 전략에 주력하라” “언론을 이용하라” “신념을 위해 저항하라” “최고의 물건을 만들어라” “희망은 크게, 비용은 적당히” “사업을 재미있는 게임으로 만들어라” 등이 그것이다.
트럼프는 사람들이 ‘장관(spectacle)’에 압도당한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다. 그간 그가 벌여온 사업들은 가능한 한 대규모로, 최고의 시설을 갖추고, 최대한 화려하게 하는 것이었다. “크게 생각하라”는 트럼프의 원칙은 사업에서만이 아니라 선거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는 가장 큰, 그래서 가장 민감하고 절실한 문제들만을 골라 ‘막말’이라는 비판조차 의식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크게 이슈화하고 있는 것이다.
“언론을 이용하라”는 원칙은 트럼프의 ‘막말’과 ‘변칙’이 실은 계산된 것이라는 걸 알려준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조금 색다르거나 용기가 뛰어나거나 무언가 대담하고 논쟁거리가 되는 일을 하면 신문은 당신의 기사를 쓰게 된다. 따라서 나는 일을 조금 색다르게 처리했으며, 논쟁이 빚어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내가 관여한 거래는 다소 허황돼 보이기도 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트럼프 미스터리’ 그 비밀을 밝힌다
입력 2016-05-30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