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27일 일본 미에현에서 정상회의를 폐막하며 발표한 선언문에서 “동·남중국해의 상황을 우려하며 평화적인 분쟁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중국이라는 이름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미국·일본과 달리 동·남중국해 분쟁에 입장을 내지 않았던 영국, 프랑스, 독일의 정상도 공동선언을 통해 중국 견제에 가세한 것이다.
G7 정상들은 “해양 안전보장에 대한 G7 외무장관 성명을 지지한다”고 밝혀 정상회의에 앞서 지난달 히로시마에서 열린 외무장관급 회담에서 “현상을 변경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모든 위협적·위압적·도발적인 일방적 행동에 강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밝힌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처럼 남중국해 문제가 G7 정상선언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의장국 일본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한 때문이다. 이 합의를 끌어내기 위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유럽의 관심 사안인 난민과 테러 문제 등에 협조하는 전략을 썼다. 그러나 지난해 독일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때 “매립 등 일방적인 현상 변경에 강력히 반대한다”는 문구가 있었음에도 중국의 해상 군사기지화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번 선언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 선언문에 대해 “일본이 주최한 G7 회의가 남중국해 긴장을 부채질했다”며 “중국은 개별 국가(미국)가 항행의 자유를 핑계로 중국을 모함하는 것을 결연히 반대한다”고 일본과 미국을 싸잡아 비난했다.
정상들은 또 다음 달 23일 국민투표를 앞둔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문제(Brexit·브렉시트)에 대해 “탈퇴는 세계경제에 심각한 리스크가 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상들은 또 세계경제에 대해 “편차가 있다”면서도 “회복이 계속되지만 성장은 완만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상호 보완적인 재정, 금융, 구조개혁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고 강조했다.
환율 정책에 대해 G7은 “환율의 과도한 변동이나 무질서한 움직임은 경제, 금융 분야 안정에 악영향을 준다”는 입장을 내놨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서명국에 대해서는 “국내 절차 완료를 권장한다”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월드뉴스]
☞
☞
G7 정상들 선언문 채택 “동·남중국해 분쟁, 평화적 해결 중요성 강조”
입력 2016-05-27 18:45 수정 2016-05-27 21:38